제 목 : 포항제철 덕분에 전성기 열리지만 포항을 떠나는 화교들
1967년 10월 3일 포항제철 기공식이 열릴 즈음 포항제철과 관련된 기업의 많은 직원이 포항에 몰려왔다. 하지만 이들이 이용할 수 있는 숙소와 식당은 태부족이었다. 그런 상황에서 포항을 대표하는 중화요리점인 길성관, 부산각, 중흥관 그리고 일식집 승리식당은 그들이 즐겨 찾는 ‘맛집’이었다. 미쓰비시, 이토추 같은 일본 기업의 포항 파견직원들도 이 식당들의 단골손님이었다. 연말에는 예약하지 않으면 자리가 없을 정도로 손님이 붐볐다. 포항제철이 기공되면서 길성관의 전성기가 시작된 것이다.
길성관 가까이에 시민극장이 있었다. 당시 시민극장에서는 쇼도 열렸는데, 남진, 나훈아, 문주란 같은 인기 스타들이 오기도 했다. 그런 날에는 시민극장이 문전성시를 이루었고, 인기 스타들도 가까운 길성관을 애용했다.
시민극장과 포항극장에서는 길성관에 주문을 자주 했다. 당시 극장에서는 명절 때 한꺼번에 결제하는 것이 관행이어서 길성관은 극장의 주문이 마냥 반갑지는 않았다. 어떤 날에는 재료가 소진되었다는 핑계를 대고 주문을 받지 않기도 했다. 그런데 또 하나 다른 이유가 재미있다. 극장에 배달을 보낸 배달원이 영화를 보느라고 제시간에 돌아오지 않을 때가 종종 있었던 것이다. 배달이 밀린 시간에 배달원이 한가하게 영화나 보고 있는 장면을 생각하면 길성관 대표는 열불이 날 수밖에 없었다.
미국 등으로 떠나는 화교
장사가 잘되니 돈을 많이 벌었을 테고 부자가 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한국 화교의 사정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았다. 그들은 한국 정부의 차별 정책 때문에 심한 속앓이를 했다. 가장 대표적인 정책은 부동산 소유 제한이었다.
한국 정부는 1961년 외국인토지법을 공포하고, 공공의 목적에 필요한 구역의 토지에 대해 외국인의 토지 취득을 금지 혹은 제약을 가할 수 있도록 했다. 이어 한국 정부는 1962년 외국인토지법시행령을 공포하고 외국인의 토지 취득을 금지하거나 제한의 구역을 제시했다. (중략) 한국 정부는 1968년 7월 외국인토지법의 개정안을 공포하고, 거주를 목적으로 한 200평 이하의 토지와 상업용 50평 이하의 토지는 사용 신고만으로 소유할 수 있도록 했다. 해당 평수를 초과할 경우는 엄격히 규제했기 때문에 사실상 소유가 불가능했다.
- 이정희, 『화교가 없는 나라』, 동아시아, 2018, 205∼206쪽.
부동산 소유 제한은 한국 화교에게 치명적이었다. 돈을 벌어도 투자할 길이 없었고, 이는 생존기반과 직결되는 문제였다. IMF 외환금융위기 직후인 1998년에 외국인 토지 소유 제한이 해제되어 화교도 일정 규모의 상점과 토지의 소유가 가능해졌다. 거주 자격과 출입국에 관한 규제도 화교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했다.
한국 정부는 1949년 11월 17일 「외국인의 입국출국과 등록에 관한 법률」을 공포하여 외국인의 출입국을 규제하기 시작했다. 이 법률은 화교에게 1년마다 거주 허가의 연장을 받도록 규정했지만, 1963년의 출입국관리법은 3년으로 연장했다. 화교는 출국할 때에도 한국 정부의 허가를 받아야 했지만, 새로운 출입국관리법의 규정에 따라 신고의 의무는 사라진 대신 재입국 허가를 받도록 했다. (중략) 화교에 대한 거주 허가 기간은 1995년에 5년으로 연장되고, 2002년에 영주권이 부여되면서 신고의 의무는 사라졌다.
- 이정희, 앞의 책, 206쪽.
한국 정부는 화교의 경제적 영향력을 차단하는 등의 이유로 이런 정책을 시행했다. 이 상황을 견디다 못한 한국 화교는 대만을 비롯해 미국, 호주, 동남아시아로 나가야 했다. “바닷물 닿는 곳에 화교가 있다”고 하지만 한국 화교처럼 거주국에 뿌리를 내린 화교가 드문 것은 이러한 이유에서다.
화교에 대한 편견과 법률적 제약으로 인해 한국 화교의 숫자가 2만 명 아래로 내려가 한국에서 화교가 멸종 위기에 처했다고 중화권의 대표적 영자지인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3일 온라인 톱으로 보도했다.
- 「전 세계에서 화교가 뿌리내리지 못한 곳은 한국뿐」, 『동아일보』, 2019년 4월 3일.
귀화를 거부하는 화교 2세대, 귀화하는 3세대
강성모의 장남 강봉기 전 길성관 대표(이하 강 대표)는 포항 화교의 역사에 대해 가장 잘 아는 사람이다. 부친이 포항 화교 1세대이고 본인은 2세대에 해당한다. 강 대표는 부산에 있는 화교학교를 다녔다. 화교학교는 서울과 부산, 대구에 있는데 강 대표는 이모가 있는 부산을 택했다. 부산 서면의 화교소학교와 초량의 화교중고등학교를 졸업한 강 대표는 대만으로 건너가 대학교에 다녔고 군복무를 마쳤다. 한국의 대학교에 입학하기는 어렵지 않았으나 왠지 대만에서 살아보고 싶었다. 하지만 일가친척 없는 대만에서 삶의 뿌리를 내리기란 쉽지 않았고 결국 1985년에 포항으로 돌아왔다.
동생과 함께 일할 때는 동생이 요리를 하고 강 대표는 경영을 했다. 그렇다고 강 대표가 요리를 못하는 것은 아니다. 부친 밑에서 요리를 배웠고 대만에 가서도 식당에서 요리하며 돈을 벌었다. 동생이 자리를 비울 때면 강 대표가 주방을 맡기도 했다.
강 대표와 같은 화교 2세대가 어느덧 70대에 이르렀다. 귀화를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화교 2세대는 귀화에 소극적이다. 한국 정부의 차별 정책으로 인한 거부감 탓이다. 특히 화교의 부동산 소유를 사실상 막아버린 것은 가장 치명적이었다.
“한번은 아버지가 차명으로 해도의 땅을 샀어요. 그런데 혹시라도 명의를 빌려준 사람이 모르쇠로 잡아떼면 어쩌나 하고 밤잠을 못 자는 겁니다. 그 모습이 얼마나 안쓰럽던지. 다행히 그 땅을 한 기업에서 매수했고 명의를 빌려준 사람이 돈을 돌려준 덕분에 걱정을 내려놓았지요. 그 후로 아버지는 차명 거래를 다시는 하지 않았습니다.”
포항 화교도 다른 도시의 화교들처럼 상당수가 해외로 나갔고 포항에는 25가구 정도 남아 있다.
“화교 2세대는 포항에서 태어나서 자랐으니 포항이 고향이지요. 해외에 나간 분들도 한 번씩 포항에 와서 저와 이런저런 얘기를 나눕니다. 화교 3세대는 아무래도 2세대와는 정서가 다를 수밖에 없어요. 3세대는 한국으로 귀화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강 대표의 외동딸도, 강 대표 동생의 아들딸도 한국으로 귀화했다.
글 : 김도형(작가)
사 진 : 김 훈(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