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노포 기행] 길성관-짜장면 한 그릇에 담긴 화교의 애환①
우리나라 사람들이 하루에 먹는 짜장면은 몇 그릇이나 될까. 여러 자료를 종합해보면, 적게는 150만 그릇에서 많게는 700만 그릇 정도 된다. 이 통계를 보면, 사람들의 입맛이 변했다 해도 짜장면은 여전히 한국을 대표하는 외식이라 할 수 있다.
지역마다 대표적인 중화요리점이 있기 마련인데 포항을 대표하는 곳은 어디일까. 길성관(吉星館)과 부산각(富山閣)을 꼽을 수 있다. 두 곳은 화교인 진가현(1915년생)과 강성모(1922년생)가 1951년 중앙상가 롯데시네마 맞은편에 개업한 동순관(同順館)에 뿌리를 두고 있다. 전쟁이 한창일 때 화교가 어떻게 포항에서 중화요리점을 개업하게 되었을까. 짜장면 면발처럼 이어지는 기나긴 이야기 타래를 펼쳐본다.
동서지간인 진가현과 강성모는 우리나라와 가까운 지역인 중국 산둥(山東)반도에서 살았다. 진가현은 잡화상에서 서기를 했고 강성모는 장사를 했다. 중국 공산당과 국민당이 치열한 내전을 벌이던 1948년에 두 사람은 바다를 건너 인천으로 온다. 내전이 끝나면 고향으로 돌아가리라 생각하고 인천행 여객선에 몸을 실은 것이다. 당시 중국에는 두 사람처럼 나라를 떠나는 사람이 꽤 많았다. 아편전쟁부터 중화인민공화국이 성립될 때까지 전쟁과 경제적 궁핍을 피해 많은 사람이 해외로 나갔는데 그 수가 1000만 명에 달했다(정성호, 『화교』, 살림, 2003, 6쪽 참조). 두 사람은 인천 차이나타운의 중화루(中華樓)에서 곁꾼으로 일하게 되었다. 1918년에 문을 연 중화루는 1970년대 후반까지 국내 3대 중화요리점으로 불릴 정도로 명성이 자자했다.
중국 산둥 출신 화교 진가현·강성모씨
1948년 전쟁을 피해 한국으로 건너와
인천 중화루에서 요리 일을 처음 배워
서울 아서원 등서 전문 요리사로 성장
1951년 포항 중앙상가에 동순관 개업
지역 최초 전통 중화요리점으로 화제
1967년 동순관을 매각하고 각자 독립
강성모 ‘길성관’·진가현 ‘부산각’ 운영
세대를 이어 현재까지 전통 맛 이어가
인천, 서울, 대구를 거쳐 포항에 오다
1949년 10월 1일 두 사람의 인생을 바꿔놓은 역사적 사건이 있었다. 마오쩌둥이 베이징에서 중화인민공화국 수립을 선포한 것이다. 두 사람에게는 청천벽력 같은 소식이었다. 고향으로 돌아갈 수 없는 처지가 된 것이다. 졸지에 이산가족이 된 두 사람은 일단 한국에서 삶의 뿌리를 내려야 했다.
중화루에서 성실하게 일하던 두 사람은 서울 명동의 아서원(雅敍苑)으로 옮겨 정식 직원이 되었다. 지금의 롯데호텔 부지에 있던 아서원은 1907년에 문을 연 국내 대표 중화요리점이었다.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한반도에서 전쟁이 터졌다. 두 사람은 또다시 전쟁의 화마를 피해야 하는 신세가 되었다. 자전거를 구해 남쪽으로 페달을 밟았다.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중화요리점 직원이라는 신분이 피난 생활에 큰 도움이 되었다. 식당을 찾아 요리를 해주고 숙식을 제공받으며 계속 남쪽으로 향했다.
대구에 도착한 두 사람은 많은 화교를 만났다. 당시 화교들은 크게 두 부류로 나뉘었다. 한국에 정착하는 사람들과 일본으로 건너가는 사람들이었다. 한국에 정착한 화교들은 부산에 많이 모였다. 1950년에 부산 화교 자치구가 자치정부로 인정받았고, 영주동, 서면, 황령산 일대에 화교 피난민촌이 형성되었다.
진가현과 강성모는 포항으로 방향을 잡았다. 지인이 있을 리 없는 포항으로 온 이유는 분명하지 않다. 다만 평양에서 살다가 서울을 거쳐 1948년 가을 포항에 정착한 문인 한흑구가 한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 것을 감안할 때 항구도시 포항의 개방적인 분위기가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 추측할 수 있다.
일본, 만주 등 각처에서 모인 사람들이 살고 있었기 때문에 섞여 살기가 힘들지 않은 것 같았다. 한국 속의 ‘뉴욕’과 같았다고 당시 포항 분위기를 살폈다.
- 『영남일보』, 1948년 1월.
1951년 롯데시네마 맞은편에 동순관 개업
두 사람이 포항에 도착하니 항구동에 덕성관(德成館)이라는 중화요리점이 있었다. 덕성관 주인은 포항에 정착한 화교의 원조인 셈인데 지금은 그 자취를 찾을 수 없다. 두 사람은 1951년 지금 롯데시네마 맞은편에 동순관을 개업했다. 행인들의 눈길을 끄는 번듯한 중화요리점이었다. 서울에 있는 화교의 투자를 받아 요리사 두 명, 홀 두 명으로 시작했다. 포항에서 중화요리를 제대로 하는 곳이 드물 때여서 동순관의 개업은 장안의 화제가 되었다.
동순관의 단골손님으로 초대 영일군수이자 제2대 국회의원(영일군 갑구)인 최원수, 문인 한흑구가 있다. 최원수 의원은 중국에서 장기간 독립운동을 한 초대 국무총리 이범석과 가까운 사이여서 이 총리와 중화요리를 자주 먹었고 그 덕분에 중화요리에 해박했다. 최원수 의원은 집에서 큰손님을 대접할 때 동순관 요리사를 불렀다. 한흑구도 명절에 동순관의 비싼 중국 술과 과자를 선물로 받을 정도로 ‘우수 고객’이었다. 해병대 장성과 장교들도 동순관에 자주 들렀고, 1960년대에 김종필도 해병대에 온 길에 동순관을 방문했다.
두 사람은 한국전쟁이 끝날 무렵에 한국 여성과 결혼식을 올렸다. 고향으로 돌아갈 수 없는 상황에서 독신으로 계속 살아가기는 힘들었던 탓이다. 결혼 후 강성모의 장모 명의로 중앙상가 ABC마트 자리에 주택이 딸린 200평 규모의 건물을 매입해 동순관을 그곳으로 옮겼다. 규모가 훨씬 커졌고 종업원도 여덟 명으로 늘어났다.
길성관, 부산각, 중흥관의 역사
1967년 동순관에 큰 변화가 있었다. 동순관을 상호(商號)와 함께 왕금옥이라는 화교에게 매각하고 두 사람은 각자의 길을 가기로 한 것이다. 왕금옥은 얼마 지나지 않아 동순관을 임대했으며, 지금 대도동 종합운동장 맞은편에 있는 동순관이 그 맥을 잇고 있는 셈이다. 강성모는 중앙상가 수협 건너편의 건물을 매입해 길성관을 개업했다. 길성관은 처음에 단층 건물이었는데 1972년에 2층 건물로 신축했다. 잠시 일을 내려놓았던 진가현도 얼마 지나지 않아 중화요리점을 운영하게 된다. 진가현의 일가 사람이 옛 아카데미극장 앞에 있던 여관을 사들여 부산각이라는 중화요리점을 개업했는데 장사가 신통치 않자 진가현이 인수한 것이다.
길성관은 강성모의 장남 강봉기(68)가 화성반점(華晟飯店)으로 상호를 바꿔서 운영하다가 동생 강봉곤(66)이 길성관으로 이름을 다시 바꿔 운영하고 있다. 지금은 강봉곤의 아들 강태우(32)가 아버지 밑에서 요리 수업을 받고 있으니 3대째 이어지는 셈이다. 부산각은 진가현의 아들이 상도동에서 운영하고 있다. 부산각 간판에 ‘50년’이라 붙어 있는 것은 이러한 이유에서다.
1953년 중앙상가에 중흥관(中興館)이 문을 연 것도 빼놓을 수 없다. 화교 왕문오가 주인이었는데 고급스러운 실내장식으로 세간의 화제가 되었다. 중흥관은 왕문오의 아들 왕수동이 이어받았고 후일 종합터미널 옆에 태원성(太苑城)으로 상호를 바꿔 2000년 초까지 운영했다. 정리하자면, 1950년대부터 현재까지 포항에서 계속 운영해온 중화요리점은 길성관과 부산각만 남아 있고, 그 역사는 올해로 74년이 된다.
글 : 김도형(작가)
사 진 : 김 훈(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