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도권 자치단체가 겪는 공통의 문제는 인구소멸과 노령화다. 국가 출산율이 떨어지고 있는 데다 지방의 젊은이조차 좋은 직장을 이유로 수도권으로 빠져나가 비수도권 대부분 도시들은 상실감에 빠져 있다.
경제는 경제대로 대학은 대학대로, 빠져나간 기업과 학생의 빈 공간을 채우지 못해 안절부절이다. 인구가 곧 그 지역의 경쟁력이기 때문에 인구를 늘이는 정책에 노심초사하지만 지방도시의 한계를 넘지 못한다. 역대 정부도 이런 문제점을 알고 국토균형발전을 강조했지만 한 번도 지방으로 인구가 되돌아 온 적은 없다.
국토 면적의 12%에 불과한 수도권의 인구는 이미 전체의 절반을 넘어섰고, 앞으로 특별한 조치가 없는 한 수도권 인구는 더 늘어갈 구조다. 지방정부로서는 답답함 그 자체다.
국립치의학연구원을 유치하려는 지자체 간 경쟁이 치열한 것도 이런 지방도시의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된다. 국가투자기관을 지역에 유치함으로써 인구 유발효과와 경제적 혜택을 조금이라도 확산시켜보자는 것이다. 국가기관 하나 유치한다고 달라지는 것은 아니지만 그것이 주는 지역적 효과는 적지 않기 때문이다.
대구시와 부산, 광주, 천안 등이 치의학연구원 유치에 치열한 경쟁을 벌인다. 각 지역마다 자신에게 유리한 유치 논리를 전개하고 있어 최종 향방은 알 수 없다.
그러나 대구시는 비수도권 최대 치과산업 도시다. 업체, 종사자 수, 생산액, 부가가치액 등이 비수도권 1위다. 치의학연구원을 수용할 치과산업 인프라가 전국 최고다. 유치의 당위성도 당연히 최고다.
다만 치의학연구원 유치를 위한 대정부 설득력이 문제다. 대구시 행정이 앞장서야 하다. 대구시가 그간 노력도 했지만 상대 도시보다 전략이나 논리가 월등히 앞섰는지는 되돌아 봐야 한다. 특히 대구시장 부재라는 불리함을 넘고 지역 정치권의 협조를 얻는데도 적극 나서야 한다. 필요하다면 대구시민 서명운동도 벌여 범시민적 붐업을 일으켜야 한다. 정부의 일정대로 움직이는 수동적 대응에서 벗어나 이제는 적극 행정으로 시민의 기대에 부응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