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나 홀로 크리스마스

등록일 2025-11-23 15:12 게재일 2025-11-24 17면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이희정 시인

모든 처녀들은 어머니가 되기 위해

자신의 뱃속에서 방아쇠를 당긴다

한 발에 한 명의 천사가 아이로 태어난다

 

내 운명은 사선에서 불발탄이 터진 것

두 명의 형제가 한 몸으로 불붙었다

다행히 그 폭발음을 신이 먼저 들었다

 

이십만에 하나라는 비극적 표적에서

내 머리에 동생 발이 축복처럼 붙었다

하나를 부욱 찢어서 쌍동을 만들었다

 

어머니 천사들은 샴쌍둥이로 명명됐다

탄환과 탄피는 제자리로 돌아갔지만

탄흔의 내 깊은 상처에 초연이 자욱하다

 

먹어도 허기지는 슬픈 불량품은

은하수 다 퍼 와서 밥해 먹고 싶지만

그 별에 내 피 찍어서

명줄 같은 시를 쓴다

 

―김샴, ‘샴을 위한 변명’전문 (‘샴을 위한 변명’, 가히, 2025)

 

시인 김샴(1993~)은 썀쌍둥이의 둘째로 태어났다. 정일근 시인의 표현을 빌리자면, “대부분 인생을 한 사람, 한 음절로 시작하지만, 시인은 운명적으로 삼 음절로 태어났다. 그 삼 음절이 샴과 시조를 만나게 했고, 샴으로 태어날 확률이 이십만분의 일이었다면, 샴이 시를 쓰는 확률도 마찬가지일 것”이라며 샴과 삼행의 정형을 갖춘 시조의 만남 또한 운명이라고 했다.

그런 면에서 ‘샴을 위한 변명’은 존재에 대한 자전적 메타시다. “모든 처녀들은 어머니가 되기 위해 자신의 뱃속에서 방아쇠를 당기”는데 “한 발에 한 명의 천사가 아이로 태어난다// 내 운명은 사선에서 불발탄이 터진 것”이라고 했다. 신은 “하나를 부욱 찢어서 쌍동”을 만들었다. 이때 어머니 천사들은 썀쌍둥이로 명명됐지만 이제 한 몸으로 불붙은 두 명의 형제는 홀로다.

마르쿠스 가브리엘은 새로운 리얼리즘에 대해 정의하면서 ‘세계’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우리는 ‘세계’를 말하며 그 자체로 있는 모든 것을 세계라고 생각한다. 우리에게 나타난 것과 그 자체로 있는 것 사이에 어떤 ‘차이’가 존재한다는 가정부터가 잘못이다. 그 자체로 있는 게 무엇인지 알아내려면 인식 과정에서 인간이 만들어 낸 모든 것(의미)을 빼버려야만 한다.”(‘왜 세계는 존재하지 않는가’)

그러니까 김샴 시인의 시에 나타난 세계는 수많은 대상 공간들이 존재한다. 마르쿠스 가브리엘식으로 말하자면 서로 격리된 작은 세상들이다. 예컨대 인용되지 않은 시 ‘이세계 아이돌’과 병치해서 보자면, “푹신한 함박눈이 겨울을 알리는 날” “컴퓨터 화면 속에” 있는 ‘나’와 “메타버스 가로지른 새로운 행복 속에” 있는 ‘나’는 아무런 연관성이 없어 보인다. 하지만 이는 역설적으로 수많은 작은 세계들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실은 이런 작은 세계들인 “전기 망토 뒤집어쓴 // 복화인형 노래”하는 영역은 화자의 컴퓨터 화면 속에서뿐만 아니라 현대 아이돌로 존재한다.

시에서 화자를 관통하는 건 세계(전체)의 나란 무엇이냐는 물음과 같다. 가령 소크라테스 문답에서 “지구는 어디에 있지?/ 우주에” “그럼 우주는 어디에 있어?/ 그 자체 안에” “그 자체라는 건 어디에 있어? / 내 의식 속에” 가 된다. 이것을 샴의 문답에 대입해 보면, “탄환과 탄피는 제자리로 돌아갔지만 / 탄혼의 내 깊은 상처에 초연이 자욱하다”가 되는 것이다. 하여 “먹어도 허기지는 슬픈 불량품”처럼 분리된 시인의 세계(우주)는 공허하다. 이때 “피로 쓰는 시는 단순한 기록이 아니라 존재의 증명”이라고 말한 이송희 시인의 독해는 타당하다. 샴 시인은 현대시조의 아이돌로 읽어 봄 직하다.

“기계음 응원 소리가 깊어지는 밤, 그 별에 내 피 찍어서 명줄 같은 시를 쓴다”

/이희정 시인

이희정의 월요일은 詩처럼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