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국립치의학연구원 공모 전환⋯“유리한 대구, 왜 조용한가”

장은희 기자
등록일 2025-11-20 17:01 게재일 2025-11-21 1면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국립치의학연구원 설립 예정지인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 /경북매일DB

국립치의학연구원이 ‘지정’이 아닌 ‘공모’ 방식으로 확정됐지만, 유치 여건에서 가장 앞선 것으로 평가되는 대구시가 정작 적극적 대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대구시는 첨단의료복합단지, 경북대 치과대학, 관련 의료기관 등 최적의 인프라를 갖추고 있음에도 홍보·전략·정치권 연계 등 유치전의 핵심 요소가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대구시의회 경제환경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도 이러한 문제가 지적됐다. 권기훈(동구3) 의원은 “대구가 가진 조건에 비해 시의 노력은 매우 부족하다”며 “시민과 정치권의 관심을 모으는 홍보전이 사실상 부재하다”고 비판했다. 

이에 최운백 미래혁신성장실장은 “초기에는 지정 가능성도 있어 외부 노출을 조심했던 것”이라며 “복지부 실무진과의 접촉은 꾸준히 이어왔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대구시의 실질적 준비 부족은 곳곳에서 드러났다는 지적이 많다. 

지난해 8월 출범한 ‘국립치의학연구원 유치추진단’은 1년 넘게 회의를 고작 세 차례만 열었다. 전체 회의 한 번, 실무 회의 두 번이 전부였다. 내부에서는 “논의만 반복됐다”, “전략이 없다”, “홍보 영상조차 만들 예산이 없어 사비 제작이라는 말까지 나왔다”는 비판이 이어졌다. 실무 공무원이 바뀔 때 마다 계획이 초기화되는 구조적 한계도 문제로 꼽힌다.

대구의 대응이 미흡한 사이 충남·부산 등 경쟁 도시들은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20일 국회를 찾아 설계비 확보를 직접 요청했고, 부산시는 다섯 번째 실무 TF 회의를 개최하며 전략 점검과 여론 결집에 나섰다. 두 지역 모두 정치권·지자체·전문기관이 긴밀하게 움직이며 공모전에서 존재감을 키우고 있다.

반면 대구는 정치권의 가시적 지원도 부족하고 시민 공감대 형성도 더딘 상태다. 

한 유치위 관계자는 “계속 실무 중심으로만 움직이다 보니 담당자가 바뀌면 기획이 초기화되고, 회의도 형식적”이라며 “공모 확정 뒤에야 움직이겠다는 말은 준비 부족을 스스로 인정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대구시 관계자는 “겉으로 드러난 홍보가 부족할 뿐 실질적 접촉과 준비는 꾸준히 진행됐다”며 “이제 공모 확정에 따라 실무 TF를 강화하고 본격적인 전략 수립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대구의 강점은 인프라이지만, 공모전은 인프라만으로는 경쟁상대를 이길 수 없다”며 “정치력, 지역 여론, 전략, 홍보 등 종합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장은희기자 jangeh@kbmaeil.com

대구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