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교통공사가 오는 21일 예고된 노조의 시한부 파업에 대비해 20일부터 전면 비상운영체제에 돌입한다.
20일 대구교통공사에 따르면, 교통공사 양대 노조 중 하나인 대구교통공사노동조합은 21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9시간 동안 시한부 파업을 예고한 상태다. 파업이 공식화될 경우 도시철도 운행 차질이 우려되는 만큼, 공사는 지난 17일 비상운영계획을 수립하고 비상운영회의를 열어 열차 운행 조정과 안전관리 대책 등 비상수송대책을 준비했다.
공사는 20일 오후 6시부터 비상대책본부를 가동해 모든 가용 자원을 총동원하고, 파업 기간에도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는 데 최우선 방침을 두고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교통공사는 파업이 현실화되더라도 도시철도 1·2호선의 운행률을 평상시 대비 63.5% 수준까지 유지해 대중교통 마비 상황을 막겠다는 목표다.
특히 출근 시간대(오전)와 퇴근 시간대(오후) 등 혼잡 시간이 가장 큰 구간에 열차를 집중 투입한다. 오전, 오후 혼잡시간대에는 각각 5분, 9분 간격으로 열차를 집중 투입해 출퇴근 수요에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그 외 시간대는 13분대 간격으로 조정 운행한다. 3호선은 시간대에 상관없이 100% 정상 운행한다.
대구교통공사와 교통공사노조는 지난 7월부터 현재까지 총 17차례 교섭과 경북지방노동위원회의 세 차례 특별조정회의를 이어왔지만 의견차를 좁히지 못한 상태다. 최종교섭은 20일 오후 5시에 열릴 예정이다.
노조는 지속적으로 △임금 인상 △유고 인력(육아휴직·장기 병가 등)에 따른 현장 인력 부족 문제 해소를 위한 인력 충원을 요구해왔다. 하지만 공사는 긴축재정 기조 속 정부 지침을 반영해 임금 3.0% 이내 인상안 외에는 제시하기 어려운 상황이며, 인력 충원 역시 “정부 별도 정원 운영 지침 범위 내에서만 가능하다”며 선을 긋고 있다.
대구교통공사 김기혁 사장은 “시민의 일상에 지장이 없도록 노조와의 합의에 성실히 임하겠다”며 “협상이 결렬돼 파업이 현실화되더라도 도시철도 운행 차질을 최소화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장은희기자 jange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