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APEC 전략·산불 후속사업·핵심 SOC 등 국비 반영 요청
경북도가 2026년도 국가투자예산 확보를 위한 전방위적 대응에 나섰다.
경북도는 지난주 양금희 경제부지사를 시작으로, 18일에는 김학홍 행정부지사가, 19일에는 김호진 기획조정실장이 잇따라 국회를 방문해 여야 의원들과 면담을 갖고 경북도의 주요 현안 사업에 대한 국비 지원 필요성을 설명했다. 특히, 미래 성장동력 확보와 재난 대응력 강화를 위한 핵심 현안 사업들을 중심으로 국비 반영을 요청하며 국회를 상대로 한 설득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번 국회 방문은 △포스트 APEC 지역 전략사업 △산불 대응 후속사업 △핵심 사회간접자본(SOC) 확충 등 지역의 중장기 발전을 위한 주요 사업들을 중심으로 이뤄졌다. 또한, 경북도가 성공적으로 개최한 APEC 정상회의의 성과를 바탕으로 글로벌 문화·관광 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후속 사업 추진의 당위성을 강조하며, 이에 필요한 국비 지원을 강력히 요청했다.
여기에 최근 대형 산불로 인한 피해와 산불특별법 제정 이후 후속 예산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하며, 단순한 복구를 넘어 산불 피해 지역을 미래 성장 거점으로 재창조하기 위한 예산 반영의 필요성을 강하게 피력했다.
김학홍 행정부지사는 포스트 APEC 전략과 산불 대응 관련 주요 사업의 필요성을 집중적으로 건의하며, “경북이 국제적 위상을 갖춘 지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전략적 투자가 절실하다”고 밝혔다.
양금희 경제부지사는 경제·산업 분야의 핵심 현안 사업을 중심으로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소속 여야 의원들을 차례로 만나, 지역경제 활성화와 산업 생태계 고도화를 위한 예산 반영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협조를 요청했다.
김호진 기획조정실장은 실무적 차원에서 각 사업의 추진 배경과 필요성을 상세히 설명하며, 국회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당부했다. 김 실장은 “재정 여건이 어려운 시기일수록 지역의 생존과 미래를 위한 투자는 결코 미룰 수 없다”며 “경북의 핵심 현안사업은 국가적 필요성과도 긴밀히 연계되어 있는 만큼, 국회 심의 막바지까지 모든 실·국이 책임감을 갖고 총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경북도는 올해 국비 확보를 지역경제 활성화와 미래 성장동력 창출의 핵심 목표로 삼고 있으며, 기획조정실장을 중심으로 실·국별 국회 대응 체계를 강화, 앞으로도 국회와 중앙부처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2026년도 국가투자예산 확보는 물론, 지역 주요 현안 사업의 추진에도 속도를 높여 나갈 계획이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