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경주포럼, APEC 문화전당 등으로 글로벌 10대 문환관광거점 도약 대한민국 AI 미래공동체 비전에 아태 AI 유치로 회원국간 AI 격차 해소 집중 인구 변화에 대응한 국립인구정책연구원 및 APEC 인구정책 협력위원회 설치 건의
이철우 경북지사는 19일 ‘포스트 APEC 추진 전략 보고회’를 열고 2025 APEC 정상회의 성공 개최의 성과를 경북 전역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10대 핵심 사업을 발표했다.
이 지사는 “경북도는 포스트 APEC 사업을 통해 APEC의 유산을 경주 뿐만 아니라 경북 전역에 확산시키는 지속가능한 성장동력으로 만들겠다”며 “벌써부터 경북 전역에 관광객이 급증하고 있으며 글로벌 호텔 체인의 투자 문의도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가시적인 성과가 일부 지역에서 이미 나타나고 있으며, 본격적인 사업 추진으로 경북의 도시 경쟁력은 한층 강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먼저 문화관광 분야에서 APEC 성공 개최와 K-컬처의 세계적 인기를 기반으로 글로벌 10대 문화관광거점으로 도약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특히 ‘세계경주포럼’을 문화 다보스포럼으로 발전시켜 글로벌 교류와 한류 확산의 교두보로 삼고, ‘APEC 문화전당’을 경주의 역사적 랜드마크로 조성해 회원국 간 문화 교류의 중심지로 활용할 예정이다.
보문단지에는 APEC 조형물과 회원국 상징 정원을 설치하고 진입도로를 개선해 미래형 관광단지로 탈바꿈시킨다. 또 ‘APEC 연합도시 협의체’를 구성해 개최 도시 간 문화·정책 협력을 통해 도시 브랜드를 강화할 방침이다.
AI경제산업 분야에서는 경북의 혁신정책을 AI 기술과 접목해 아·태지역 공동번영의 모델로 확산시킬 계획이다. 포항·구미·안동·예천의 데이터센터를 연결하는 ‘AI 고속도로’를 구축하고, 경산의 AI 인재양성 인프라를 더해 ‘AI 미래공동체’ 비전을 실현한다.
특히 ‘아시아태평양 AI 센터’ 유치를 통해 APEC 회원국 간 AI 격차 해소에도 앞장선다. 글로벌 기업인과 투자자들이 참여하는 ‘경주 CEO 서밋’과 AI 미디어아트를 적용한 ‘APEC 퓨처스퀘어’도 함께 추진된다.
저출생과 전쟁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도 제시했다. ‘국립 인구정책 연구원’을 경북에 유치해 인구 문제 대응 성과를 확산하고, ‘APEC 인구정책 협력위원회’를 제안해 회원국 간 공동 대응 체계를 구축한다. 삼국통일의 역사적 의미를 담은 ‘신라통일평화정원’과 전국민의 통일 염원을 담은 ‘한반도 통일미래센터’도 조성할 계획이다.
이 지사는 “10대 사업 뿐만 아니라 경북도 전역에 APEC 성공의 혜택이 이어질 수 있도록 연합도시 모델과 같은 광역사업도 구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