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매일매일의 일상생활에서 교통사고를 포함한 많은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각종 사건 사고와 관련된 뉴스가 쏟아지는 것은 그 단적인 예다.
필자는 38년간 경찰관으로 근무하면서 경찰서장을 마지막 보직으로 정년퇴직하고 지금은 KT 협력업체인 (주)우주씨앤티의 청도지역 경영과 안전을 책임지는 일을 하고 있다.
가끔씩 경찰관일 때와 기업 활동하는 현재가 오버랩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가장 큰 공통점이 있다면 그것은 현장에서의 안전이다. 실제, 아무리 준비와 결과가 좋더라도 안전 문제가 꼬이면 모든 것이 허사가 된다. 그런 점에서 어떤 분야든 안전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다는 점은 확실하다.
물론 안팎에서 경험해 본 두 직업의 안전에 대한 내용이나 우선순위에서는 여러 차이가 있다. 하지만 나와 주변의 안전을 확보함으로써 일상의 평온함을 목표로 한다는 큰 틀에서는 별다른 차이가 나지 않는다.
경찰관은 직업상 현장에서 나 자신의 안전보다 나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주민의 안전이 우선되어야 하고 이런 주민들의 안전을 위해서는 나 자신의 안전을 포기하거나 어느 정도의 위험을 감수해야만 하는 특성이 있다. 반면 기업에서는 자신과 주변 동료들의 안전이 최우선적으로 고려될 수밖에 없다. 차이가 있는 것 같지만 궁극적으로는 안전 우선이라는 점에서는 지향하는 바가 같다.
필자 또한 경찰관 재직 시에는 공공의 안전이 최우선이었으나 정년퇴직을 하고 사기업에서 종사하고 있는 지금은 근로자 안전을 가장 먼저에 두고 있다. 기업이 작업자들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과 투자를 아끼지 않는다는 사실을 공직에 있을 때는 솔직히 잘은 몰랐다. 하지만 현장에서 마주한 기업들의 안전 대응은 생각 이상이었다. 안전사고는 소속 기업에도 엄청난 손실을 끼칠 수밖에 없는 부분도 있지만 대표자나 경영인들의 안전에 대한 대응과 계획은 기대를 웃돌았다.
필자가 근무하는 사무실에는 “우리 현장은 다치면서까지 해야 할 중요한 일은 없습니다”라는 KT의 표어가 걸려있다. 문구를 보고 처음에는 깜짝 놀랐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기업들이 저마다 안전에 대하는 일종의 이념과 가치, 룰을 갖고 있음을 알았고 그러면서 어느 정도는 이해가 됐다. 실제, KT에서는 지나치다고 느낄 정도로 현장 안전관리를 위한 노력과 시스템이 엄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KT 협력업체에서 안전관리 업무에 담당하는 필자로서는 오히려 감사한 마음이다.
누구나 주변의 위험요인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조심하고 살펴야 하겠지만 특히 산업현장에서 일하시는 분들과 제복 입은 공무원들께는 현장의 안전을 가장 먼저 고려하고 안전수칙을 준수함으로써 자신과 주변의 안전을 지키고 우리 사회의 안정과 발전의 초석을 만드는 데 함께 노력해야 한다. 그래야만 공무원들이나 산업현장에서 일하는 근로자 모두가 사회에서 존중받으며 그에 합당한 대우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