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대구 타운홀미팅에 참석한 이재명 대통령은 “TK 신공항 건설 비용은 정책적 결단과 재정여력의 문제”라며 “실현 가능하도록 충분히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또 “군 공항 이전은 국가사무인 만큼 국방 차원에서 검토하겠다”는 말도 했다.
이 대통령의 이 발언은 TK 신공항 사업에 대한 정부의 재정 지원 가능성을 처음 언급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다. 특히 교착 상태에 빠진 TK 신공항 사업이 대통령의 언급으로 새로운 전기를 맞을 것인지 여부에 지역민의 관심이 모아졌다.
대구경북 신공항은 재원조달의 문제로 사실상 봉착 상태다. 공자기금 지원이 불가능하고 기부대양여 방식에 대한 한계도 드러났다. 지금은 공영개발 방식보다 정부 주도 사업으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주류다.
불과 목표 개항까지 5년을 남겨두고 개발방식 문제와 정부 협조 불투명 등으로 사업추진이 제대로 될는지 걱정을 하는 이가 많다.
최근 대구시는 국회 내년도 예산안 심의과정에 신공항팀을 상주시키며 총력 대응을 하고 있다. 특히 TK 신공항 예산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시가 신공항 사업과 관련해 요청한 정부 기금운영계획안에서 전액 삭감된 예산의 일부라도 되살려 보겠다는 것이다.
신공항 예산의 최소한 확보는 사업의 연속성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예산이 반영되지 않을 경우 당장 사업이 1년 연장되고 나아가 사업의 불확실성마저 키울 수 있다. 또 토지 보상을 기다리는 주민들의 반발도 무마하기가 쉽지 않다.
김정기 시장 직무대행이 “국가 재정지원이 가능한 구조를 만들고 중앙정부와의 공동사업으로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 것은 현재 TK 신공항 사업이 처한 구조를 잘 대변하는 말이다.
정부와 여당의 확고한 지원 의지가 필수다. 이 대통령의 말대로 가능하도록 정부 차원에서 실행에 옮기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지역을 방문한 정청래 민주당 대표도 막연하게 지원한다는 말보다 말에 대한 책임과 약속을 실천하는 모습을 보여야 지역 민심도 눈을 돌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