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들어 주식 시장의 변동만큼이나 재벌들의 목소리에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진 것 같다. 미국과의 관세 협상 타결 이후, 이재명 대통령을 향한 기업 총수들의 찬사에서 주목된 건 그 내용보다는 그들의 언어 그 자체 아니었을까? 그만큼 대중의 귀에 재벌의 언어와 소리가 가닿는다는 사실은 여전히 이채로운 일로 여겨지곤 한다.
가령 서울 한복판에서 재벌들이 치킨을 먹었다는 사실만큼 놀라운 건 그들의 ‘먹방’ 소식을 듣고 모여든 수많은 인파 아니었을까? 사람들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나타나자 그의 이름을 연호하며 환호했다. 마치 대선 유력 후보의 연설 현장 같기도 했다. 물론 이런 열광은 이해 못 할 일이 아니다. 글로벌 기업을 이끄는 리더이자 세계 최고의 부자들 아닌가. 저들이 존경받을 만한 삶을 살았는지는 모르겠지만, 오너를 향한 대중의 선망하는 마음을 헤아리지 못할 것도 없다. 안타까운 현상일지라도 말이다.
다른 한편 재벌의 삶만큼 철저하게 미지의 세계가 있을까 싶다. 이재용 회장은 자신의 모습을 담으려는 대중을 향해 “아이폰이 너무 많다”며 너스레를 놓기도 했다. 아마 대다수는 재벌 총수의 농담을 처음 들어봤을 거다. 그만큼 재벌의 언어는 알려진 바가 없다. 지난 ‘치맥 회동’이 색다르게 느껴졌다면 재벌들도 우리와 다르지 않은 것을 먹고 마시며 지낸다는 사실 때문이었을 게다. 당연한 일일 텐데도 우리와는 동떨어진 삶을 살 거라고 상상해 온 건 아니었나 싶다.
당연히 이런 상상에는 출처가 있다. 매체에서 재현되는 재벌 일가의 행태가 대체로 그렇기 때문이다. ‘막장 드라마’는 재벌들의 ‘속사정’에 대한 ‘지레짐작’에서 비롯된 양식이다. 재벌에 대한 스테레오 타입화된 이미지들만 넘칠 뿐 실제 그들의 말과 언어를 들을 기회는 없다.
그러다 보니, 노동자를 비롯한 시민들의 일상을 다룬 소설에 비해 재벌의 세계를 다룬 작품은 거의 없다는 것도 이해 가능하다. 작가들 역시 재벌의 생활을 알 도리가 없을 테니 말이다. 그런 의미에서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1978·난쏘공)’은 기념비적이라 할 수 있다.
‘난쏘공’ 연작은 주로 도시 빈민이나 노동의 측면에서만 다뤄졌으나, 사실 이 작품에는 재벌의 세계가 중요하게 담겨 있다. 한국소설에서 재벌이나 사장은 탐욕의 화신으로 전형화되어 왔는데, ‘난쏘공’에서는 재벌 2세의 불안정한 사생활과 그로 인한 방황과 회의 등의 정서가 핍진하게 그려진 것이다. 이는 1970년대 한국 자본주의가 강남 개발과 부동산 투기, 관치금융 등을 통해 ‘토건’과 재벌 중심의 경제로 재편된 현실과도 상통하는 서사였다.
무엇보다 ‘난쏘공’은 ‘노동자의 눈에 비친 재벌’과 ‘재벌의 눈에 비친 노동자’의 교차를 통해 각자의 관점을 초월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한다. 이 작품이 재벌 2세를 살핀 이유도 여기 있다. 생활세계에서 쉽게 식별할 수 없는 재벌의 존재를 후경화하면서도, 그들의 후계자를 내세움으로써 재벌에 대한 이해의 재구성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치맥 회동’을 계기로 재벌에 대한 인식의 차원이 달라질지는 모르겠지만, 그들의 삶에 대해 궁금하다면 우선 ‘난쏘공’을 권하고 싶다.
/허민 문학연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