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존재감 뽐내는 송곳봉·노인봉… 길손 지켜주는 두 신장 같아

최병일 기자
등록일 2025-11-19 19:27 게재일 2025-11-20 15면
스크랩버튼
(9) 걷기 천국 울릉도 - 우산국의 고분을 따라 걷는 길
현포마을의 고적한 모습. 

현포항의 상징 노인봉, 200m 주름진 암벽이 우뚝 솟아올라 
   성인봉 북쪽 경사지에 87기 고분군… 우산국 근거지로 추정
   코끼리바위에 생긴 폭 10m 구멍 사이로 소형 선박 드나들어

△ 우산국 도읍지… 고분군의 비애 

오늘은 수토사길을 걷는다. 현포마을을 출발해 현포령을 넘어 태하마을로 간다. 이 일대에는 고대 우산국의 도읍지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지역이다. 그래서 고분들이 많이 남아 있다. 사람들은 우산국의 멸망을 슬퍼하지만 내가 슬픈 것은 우산국의 멸망이 아니다. 생겨난 것은 언젠가 소멸하기 마련이다. 얼마나 많은 나라들이 생겼다 멸망해 갔는가? 

정작 슬픈 것은 이 작고 척박한 섬, 기껏해야 몇백, 많아도 몇천에 지나지 않은 적은 수의 사람들이 살았을 우산국이란 나라에도 왕이 있고 귀족들이 있었다는 사실이 슬프다. 지배와 피지배 계급이 존재했다는 사실이 슬프다. 그 시절이면 그저 힘세고 싸움 잘하는 자가 왕노릇하면서 살았을 터다. 

약한 자들은 고된 노동으로 그자들의 사치와 향락을 위해 봉사했을 것이다. 그러다 죽은 그들의 무덤 돌을 옮기기 위해 또 얼마나 힘든 노동을 겪어야 했을까? 그것이 고분이 알려주는 진실이다. 오늘도 파도가 거세다.

현포항. 

 현포항 부근에서 만난 노인은 울릉도의 파도가 얼마나 센지 육지 사람에게 세심히도 설명해 주신다. “바다가 허옇다니까. 여기 파도는 힘이 세요. 육지 파도 안 같아요. 파도치면 바다 전체가 하해. 거품이 있어서. 눈밭에 온줄 착각이 든다니까. 겨울에 오면 열흘은 갇힐 거 각오해야 해요. 파도 때문에.” 

현포는 가문작지라고도 한다. 이 마을의 수문장은 노인봉과 촛대바위다. 산 중턱의 그 촛대바위 그림자가 바다에 비추면 바닷물이 검게 보인다 해서 가문작지라 했다는 지명 유래가 있다. 그런데 아무리 돌아다 봐도 별로 크지 않은 촛대바위 그림자가 현포 해변을 검게 물들일 수 있을 것 같지는 않다. 개척 당시 대풍감에서 노인봉까지 해안선이 까마득히 보여서 가문작지라 했다고도 한다. 안내판에 나온 설명이다.

 하지만 까마득히 보이는 것이 어디 현포뿐일까. 울릉도에서는 어디를 봐도 다 까마득하다. 작지는 전라도 지역에서 짝지라고 부르는데 옛날 공식 입도 허가 전부터 많이 살았던 전라도 지역 사람들이 남긴 언어 유산일 것이다. 갯돌이 있는 해변을 짝지, 작지라 한다. 감은은 검은의 방언이니 감은 작지란 해변에 검은 빛 자갈들이 많아서 붙여진 이름일 것이다. 

현포 해변의 자갈들은 검은 빛이 많다. 성종 12년(1481) 때 완간된 동국여지승람에는 이곳에 7개의 촌락과 석불석탑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100여 년 전 개척 당시에만 해도 현포에 40기가 넘는 고분이 있었지만 개간을 하면서 점차 사라지고 몇 기만 남았다. 

△ 울릉도 3대 해상 비경 중 하나인 코끼리 바위 

현포항의 상징은 노인봉이다. 우뚝 솟아오른 200m 암벽의 주름이 노인의 주름 같아서 노인봉이라 했다고 전한다. 하지만 주름까지는 안보이고 그래도 언뜻 보면 등 굽은 노인이 서 있는 듯하다.

현포의 또 하나 명물은 울릉도 3대 해상 비경 중 하나로 꼽히는 공암(코끼리바위)다. 바위에 구멍이 있어서 공암이란 이름이 붙여졌다. 전설에는 지금의 공암은 현포 앞바다에 있었고 구멍이 없는 그냥 큰 바위였다. 그런데 현포에 살던 힘센 장사 노인이 큰 바위가 자기 마을 앞을 가리고 있는 것을 못마땅하게 생각했다. 

어느 날 노인은 바위를 다른 곳에 가져다 버리려고 배를 타고 나가 밧줄로 바위를 묶고 배를 저어 옮기려고 했다. 하지만 바위가 너무 커 꼼짝도 안했다. 화가 난 노인은 다른 바위 하나를 들어 큰 바위를 향해 던져버렸다. 그러자 큰 구멍이 났고 구멍에 줄을 묶으니 따라왔다. 

노인이 노를 저어 천부 앞바다에까지 왔을 때 굉음이 들리며 바위를 묶은 밧줄이 끊어져버렸다. 배가 침몰해 노인은 죽었고, 끌고 가던 바위는 그 자리에 멈춰 섰다. 그 바위가 공암이다. 공암은 코 부분에 폭 10m의 구멍이 나있어 소형 선박이 드나들 수 있다. 코끼리가 코를 물속에 처박고 물을 마시는 모양처럼 보인다 해서 코끼리바위라고도 부른다.

 현포 읍내에는 보성식당, 슈퍼 간판이 보인다. 주인이 그 옛날 전라도 보성에서 이주해왔던 사람의 후예일까. 현포마을 뒷산 자락은 봉우리들이 첩첩산중으로 이어져 어느 깊은 산중 같은 느낌이다. 길에서 벗어나 잠깐 현포항 방파제로 나가니 또 다른 풍경이 펼쳐진다. 마을 안길에서는 보이지 않던 송곳봉이 불쑥 눈에 들어온다. 

노인봉과 송곳봉이 나란히 서 있는 풍경이 이방의 정취를 한껏 고조시킨다. 방파제에서 보니 대풍감의 모습 또한 한 폭의 병풍 같다. 병풍바위라 이름해도 되겠다. 길은 해변 도로를 따라 울릉도 독도 해양 연구기지 방향으로 이어진다. 갈림길에 안내판이 있다. 큰 도로는 일주도로다. 일주도로와 해안도로 사이 밭 가운데 현포 고분군이 있다. 깜빡 방심하면 놓치기 쉽다. 

현포마을의 고분들이 모여 있는 현포 고분군. 

경상북도 기념물 73호인 현포리 고분군이다. 울릉도의 고대 무덤인 고분을 이 지역 사람들은 고려장이라 불렀다. 늙으면 부모를 버렸다던 그 고려장이란 이름이 어찌 여기까지 따라온 것일까. 연유는 알 수 없으나 울릉도에서 고려장이란 막연히 옛날 무덤이란 뜻으로 쓰인 것일 터다.

△ 대풍감의 그림같은 풍경 압도적 

성인봉에서 뻗어 내린 북쪽 경사지인 이곳이 울릉도에서 가장 많은 고분들이 남아 있는 지역이다. 1957년과 1963년 국립중앙 박물관에서 발굴조사를 한 바 있다. 그때 최소 87기의 고분이 확인됐다. 현포 38기, 남서 37기, 남양 27기 등이었다. 이 일대가 우산국의 근거지였다는 증거다. 이 고분은 직경 10m-15m, 높이 5m 내외의 적석총(積石塚)이다. 적석총이란 돌무더기를 쌓아 만든 무덤이란 뜻이다. 

금속토기 등이 발견된 고분군은 통일신라시대 후기 무덤으로 추정된다. 

발굴 당시 석실 내부에서는 약간의 금속 유물과 토기들이 출토됐다. 토기 양식으로 추정하니 통일 신라 시대 후기 무덤이었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내물왕 4세손인 하슬라주(강릉)의 군주 이사부가 우산국을 신라에 복속한 것이 지증왕 13년(512년)이다. 그런데 신라 후기 고분이 있다는 것은 복속 이후에도 토착 지배 계급이 존재했다는 뜻이다.

고분을 둘러보고 나오니 길은 다시 울릉도 독도 해양과학기지 앞으로 이어진다. 동해안 해양 연구의 첨병이다. 기지 앞에는 아담한 몽돌 해변이 있다. 해변에는 선박이 피항할 방파제가 없고 작은 선착장만 있다. 선박들이 잠깐 접안하고는 떠나는 곳, 나루다. 선착장은 마치 바다 속으로 난 도로 같다. 저 길을 따라가면 용궁에 도달 할 수 있을까. 잠시 과학기지 앞에서 비과학적 상념에 젖어든다. 

현포 노인봉의 풍경 

과학기지 앞 포장도로가 끝나는 지점에 ‘길 없음, 도로 끝’이라는 안내판이 서 있다. 자동차 길은 끝이지만 오솔길이 있어서 그대로 따라간다. 이정표가 없으니 어쩌란 말인가, 그냥 가는 데까지 가봐야지. 약간의 경사지를 오르니 바로 코앞에 대풍감의 풍경이 그림처럼 펼쳐진다. 길옆의 주상절리는 장대한 절벽이다. 제주 산방산을 절반으로 쪼개다 엎어놓은 듯 한 풍경. 

고개를 넘기 전 잠시 멈춰 서서 뒤를 돌아본다. 그 사이 추산, 송곳봉과 노인봉이 뒤따라와 있다. 이 근방에서는 어디를 가도 존재감을 잃지 않고 강렬하게 우뚝 선 두 봉우리. 길손을 보호해 주는 신장 같다.

/강제윤(시인, 사단법인 섬연구소 소장)

해담길에서 만나는 울릉도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