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담길에서 만난 울릉도 (8) - 걷기 천국
△ 숲속에 숨어 있는 용출소
알봉 둘레길 흙길의 끝자락은 내리막길이다. 흙길이 끝나고 보도블럭 길이 시작되는 지점에서 길은 두 갈래로 나뉜다. 왼쪽은 추산마을로 가는 길이다. 추산은 송곳산이라고도 하는데 그 말이 그 말이다. 송곳(錐) 산을 한자화 한 것이 추산(錐山)이다. 송곳산이 마을 뒤에 떡 버티고 있어서 추산 마을이다. 송곳산은 해발 430m에 이르는 뾰족한 봉우리가 마치 송곳을 수직으로 세워놓은 것 같아 붙여진 이름이다. 어디에서 봐도 그 뾰족한 모양이 신비롭다. 오른쪽은 다시 나리마을로 가는 길이다.
그런데 길가 어디선가 우렁찬 물소리가 들린다. 여기는 계곡이 없는 듯한데 어디서 나는 소리일까? 두리번거리니 안내판이 서 있다. 추산 용출소에서 쏟아져 내려가는 물소리다. 추산 아래 용출수가 솟아나 만들어진 소라 해서 용출소다.
용출소는 숲속에 숨어 있다. 이 소는 나리분지에 내린 빗물이 땅으로 스며들어 지하로 흐르다 갑자기 분출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용출소 아래 바위틈에서 하루 2만 톤의 물이 쏟아져 나온다. 엄청난 양이다. 초당 220리터가 솟아오르는 이 물은 도수관을 통해 104m, 143m의 낙차로 두 차례 떨어져 각각 200kW, 1,200kW의 전기를 생산하는 수력 발전소로 만들었다. 1966년 준공 이후 울릉도 전기 생산량의 약 10%를 담당했으나, 2024년부터 용출소 제2 발전소는 생수 사업 전환으로 가동이 중단되었다.
이 용출소는 나리분지의 화산이 함몰되어 호수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호수 아래에 투수율 높은 부석들이 퇴적되어 지하수 저장고와 이동 통로 역할을 동시에 하게 됐는데 갑자기 이 지하수가 단층과 급경사를 만나면서 더이상 흐를 곳이 없자 위로 분출된 것이다. 이 길에서 또 하나 지구의 신비를 배우고 간다.
△ 일봉 등산로 희귀종 섬말나리 볼 수 있어
나리분지 초입, 알봉 등산로 입구에는 섬말나리 동산이 있다. 섬말나리는 울릉도에 자생하는 나리다.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인데 강원도 금강산, 함경도 원산·무산령 등지와 만주·아무르·우수리 지방까지 분포한다. 일본에서는 관상용으로 건너간 것이 귀화하여 널리 퍼졌다.
말나리와 달리 꽃이 노랑색으로 핀다. 울릉도에서도 성인봉 일대 400m 이상의 고지대에서 군락을 지어 서식한다. 나리마을 사람들의 식량으로 쓰일 정도로 흔하던 섬말나리가 1997년에는 산림청에 의해 희귀및 멸종 위기 식물 37호로 지정됐다. 그런데 일본이 울릉도의 섬말나리를 채취해가 증식한 뒤 다케시마(독도)나리로 이름 붙이고 독도가 일본 땅인 양 선전하는데 이용했다.
이에 대항하기 위해 영남대 김규원 교수가 복원 증식에 성공했고 2003년부터 나리분지에 다시 심기 시작했다. 섬말나리 동산은 그를 기념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알봉 분화구까지는 왕복 2km, 1시간 30분 정도의 길이다. 정상에 분화구 흔적이 남아 있지만 나리분지나 제주에서 흔히 보는 분화구처럼 뚜렷하지는 않다. 뻥 뚫린 분화구 같은 특별한 기대를 한다면 오르지 않아도 무방하다.
알봉을 발견한 것은 전라도 사람들이라고 전한다. 공식 거주 허가 이전 울릉도로 가장 많이 찾아들어와 삶의 터전을 일구었던 이들이 전라도, 그중에서도 거문도 섬사람들이다. 아마도 이들이 배를 지을 목재를 구하러 나리분지에 왔다가 알봉을 발견하고 알처럼 생겼다 해서 알봉이라 이름 지었던 듯하다. 알봉은 나리분지가 만들어진 후에 형성됐다.
지하의 마그마가 분출해 화산이 만들어지면서 다시 마그마가 수축했고 그로 인해 마그마 위에 있던 화산이 무너져 내려 나리분지가 형성됐다. 그후 다시 나리분지 틈새로 마그마가 분출 했는데 멀리 가지 못하고 그 자리에 봉긋한 돔 형태로 만들어진 것이 알봉이다.
알봉으로 오르는 길은 특별할 것이 없는 평범한 야산 자락이다. 제법 가파른 길인데 다리가 무겁지 않다. 많이 걸을수록 고단함이 아니라 삶의 에너지가 분출하는 까닭이다. 왜 아니겠는가. 사람은 동물이 아닌가. 움직이는 존재, 움직여야 사는 존재. 움직일수록 되살아나는 존재가 아닌가. 정상에 오르니 데크로 만들어진 넓은 전망대가 있다.
정상 부근은 약간의 경사가 있을 뿐 분화구라는 느낌이 들지 않는다. 하지만 정상에 오르기 직전에 펼쳐지는 나리분지 풍경은 장관이다. 나리분지의 전경을 볼 수 있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가치 있는 발길이다.
나리마을에서 나물 음식으로 요기를 하고 다시 알봉 둘레길을 걷는다. 이번에는 깃대봉이 목표다. 오늘 벌써 두 번째 걸음이지만 역시나 평온하고 행복한 길이다. 이처럼 걷기 좋은 길은 매일 걸어도 지루하지 않다. 계절마다 그 길이 다르듯 오전이 다르고 오후가 다르다. 매번 걸어도 같은 길은 없다. 빛이 다르고 바람이 다르고 공기가 다르기 때문이다. 걷는 마음이 또한 다르기 때문이다. 길을 잘 가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그냥 가는 것이다. 아무리 험한 길일지라도. 두려움 없이 계산 없이 가는 것이다.
다시 투막집을 지나 갈림길. 이번에는 깃대봉으로 향한다. 나리분지에서 깃대봉까지는 4.4km. 5분 남짓 가파른 길을 오르니 그 다음부터는 또 평탄한 산 둘레길이다. 아래서 올려다 봤을 때는 가팔라 보여서 고생 좀 하겠다 싶었는데 의외다. 역시 길은 가봐야 안다.
△ 울릉도의 정수 조망할 수 있는 깃대봉
길은 내내 형형색색의 단풍으로 한껏 물들어 있다. 길가에 문득 ‘사유지니 무단출입을 금한다.’는 경고판이 걸려있다. 각종 산나물이 돈이 되니 불법으로 채취해 가는 이들이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함인 듯하다. 정상 부근에서 길은 잠시 다시 가파르다. 그래도 가파름은 잠깐이고 이내 정상이다.
정상에 올라서자 탄성이 절로 난다. 사방으로 탁 트인 시야. 나리분지의 전경과 성인봉, 말잔등, 미륵산, 옥녀봉을 비롯한 외륜산 봉우리들과 대풍감, 송곳봉, 노인봉, 공암 등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 울릉도의 정수를 온전히 조망할 수 있는 산봉우리. 이보다 더 빼어난 전망대가 어디 있을까. 가장 높다는 것을 제외하면 성인봉도 깃대봉의 풍경에는 고개를 숙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높다는 것은 상징일 뿐 보여줄 것 없는 높은 자리도 많다. 참으로 감동적인 풍경이 아닌가. 게다가 이미 가버린 줄 알았던 울릉도의 단풍은 여기에 다 몰려와 있다. 한참 넋을 놓고 서 있는데 노부부가 정상으로 올라온다, 노인들은 올라서자마자 이구동성으로 환호성을 지른다.
“성인봉은 암것도 아니네.”
노부부는 도동에서 성인봉을 넘어 깃대봉까지 왔다. 성인봉에서는 보이는 것이 아무것도 없어 섭섭했는데 깃대봉에서 비로소 보상받았다고 감탄을 멈추지 않는다. 노부부는 아쉬운 듯 떨어지지 않는 발걸음을 옮긴다. 노부부가 내려가고 또 시간이 지나 해가 뉘엿뉘엿 져 가는데도 나는 도무지 발걸음이 떨어지지 않는다. 찬바람에 손도 시리다. 오늘 8시간을 걸은 끝에 최고의 풍경을 만났다.
해가 지면 위험하니 어쩔 수 없이 하산한다. 그래도 마음은 도무지 떠나지 못하고 머뭇거린다. 30분 남짓 가파른 길을 내려가니 가수 이장희씨가 사는 집, 울릉천국이다. 울릉천국에서 5분을 더 내려가니 평리마을 버스정류장이다. 이제 울릉도의 밤은 깊을 대로 깊었다.
/강제윤(시인, 사단법인 섬연구소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