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울릉도 뱃길에 대체여객선 투입···‘황당한 소형대체선’ 발표에 주민들 반발

김두한 기자
등록일 2025-11-19 15:55 게재일 2025-11-20 5면
스크랩버튼
울릉크루즈 검사기간 대체선으로 운항할 썬라이즈호. /김두한 기자 

울릉도와 육지를 잇는 유일한 여객선인 뉴씨다오펄호의 동절기 일시 휴항을 앞두고 해양수산부가 19일 썬라이즈호를 대체 투입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울릉도 주민들은  “당연히 해야 할 의무를 합의인 것처럼 포장했다”며 강한 불만을 드러냈다.

뉴씨다오펄호는 다음 달 9일부터 22일까지 14일간 수리·정비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 소식이 전해지자 울릉군과 주민들은 “동절기 항로 단절이 현실화될 수 있다”며 해수부에 즉각적인 대책을 요구했다.

이에 포항지방해양수산청은 울릉군과 여객선사와의 협의를 거쳐 휴항 중이던 대저페리의  썬라이즈호(총 톤수 388t ·정원442명)를 대체 여객선으로 투입하기로 했다. 또 뉴씨다오펄호의 수리 기간을 기존 계획 대비 이틀 단축해 주민 불편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차량과 화물 운송은 포항∼울릉간 화물선 두 척이 맡는다. 기상 악화로 썬라이즈호가 결항할 경우 화물선이 긴급 여객 운송을 수행할 수 있다는 계획도 내놓았다. 

그러나 정작 울릉도 주민들의 반응은 싸늘하다.  주민들은  “해양수산청이 포항~울릉도 간노선에 대해서는 울릉군민의 유일한 해상교통수단인 만큼 허가 시 지원을 통해 동시에 휴항을 하지 못하도록 해도록하고 휴항시 상호 보완을 해야 해야했다”고 말했다.

주민들은 “썬라이즈호 투입은 협의가 아니라 여객선사의 당연한 의무”라고 주장한다. 울릉크루즈와 대저페리는 울릉도 해상교통을 공동 책임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한쪽 회사가 휴항하면 다른 한쪽이 자동으로 대체해야 한다는 것이다.

주민들은  “의무적인 조치를 마치 산고 끝에 합의한 결과처럼 발표해 혼란을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더욱이 12월 울릉도는 풍랑주의보가 잦아 대체선의 실질적 운항 가능성도 낮은 상황이다.

최근 연도별 12월 풍랑주의보 발효 횟수는 2021년 15.94회, 2022년 19.54회, 2023년 14.71회, 2024년 17.54회 등이다. 썬라이즈호의 운항이 불가능한 기간이다. 

주민들은 “풍랑주의보가 평균 15회 이상인 12월에 14일간 점검하는 여객선을 대신해 썬라이즈호를 투입한다는 것은 사실상 대체수단이 없다시피 한 것”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또 “3000t급 엘도라도 익스프레스호가 도입되면 동절기에도 안정적인 대체 운항이 가능해진다”며 신형 대체선 확보가 근본 해결책이라고 강조했다. 해수부는 “중장기적으로 연안여객선 공영제를 도입해 섬 주민의 불편을 정부가 직접 해결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주민들은 “땜질식 행정, 형식적 대체선 발표가 반복되는 한 상황은 달라지지 않는다”며 “행정당국이 현실을 직시하고 근본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두한기자 kimdh@kbmaeil.com

동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