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일담 문학이란 장르 개념이 있다. 후일담이란 말 그대로 어떤 시기가 지났다는 사후(事後)의 의식을 전제로 성립하기 때문에, 시대의 이행과 전환을 사고하려는 시도로부터 반복적으로 출몰하거나 호명되는 서사 양식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한국근현대문학사에서 후일담 문학은 1980년대의 변혁운동에 관한 기억을 담은 1990년대의 문학군을 주로 통칭해 왔다. 즉 1990년대의 후일담은 1980년대, 정확히는 운동권의 경험과 실천, 논리가 함의하고 있던 정치 지평이 이제 만료해 버렸다는 다분히 의식적인 판단의 산물로 여겨져 왔다는 것이다.
후일담을 새삼 떠올린 건 지난 주말에 우연히 보게 된 MBC 예능프로그램 “놀면 뭐하니?” 덕분이었다. ‘80s 서울가요제’라는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내용이었다. 80년대 가요를 요즘 가수들이 부른다는 콘셉트가 조금 식상하지 않나 싶었는데, 막상 노래를 들으니 나쁘지 않았다. 다들 비슷한 느낌을 받았던 것일까? 지지부진하던 시청률도 많이 올라 토요일 예능 부분 1위를 차지했다고 한다.
사실 후일담 문학이란 작가 자신이 내세우는 개념은 아니었다. 후일담은 대체로 평단의 다소 부정적 어감을 함의한 평가 규준에 가깝다. 변혁운동으로부터 이제는 한발 물러난 운동권 출신의 허무주의와 패배 의식, 회환과 죄책감의 토로에 함몰된 장르로 평가절하되었기 때문이었다. 그럼에도 후일담에 가까운 회고의 양식은 잊을만하면 한 번씩 찾아오는 것 같다. 그만큼 한국 사회에는 오늘날까지도 적지 않은 규정력을 발휘하는 ‘과거’의 지속이 있다고 봐야할 것이다.
이때 그 ‘과거’란 때론 ‘87년 체제’라 불리며 정치경제적 레짐이나 실정적인 힘으로 작동하기도 하며, 때론 ‘386’ 혹은 ‘586’이라는 세대/계층 의식과 그 헤게모니에 입각한 사회사적인 의제를 형성키도 한다. 또한 ‘뉴트로’라 불리는 사회적인 현상의 배후에서 정치와 일상을 매개하는 문화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기도 하다.
그런 의미에서 2020년대의 오늘을 ‘장기 후일담의 시대’라 부를 수 있지 않을까. 1980~90년대의 정치경제적 의제는 물론 그 사회문화적 함의에까지 여전히 긴박되어 있다는 의미에서 그렇다. 이제는 1980년대의 변혁운동에 관해서만이 아니라 당시의 문화적 열기에 대한 회고와 향수가 유행하고 있는 것이다. ‘응답하라’ 시리즈와 ‘토토가’를 비롯한 1980~90년대의 문화를 추억하거나 해당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영상물들이 범람한 것도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이는 한편으론 유튜브로 대표되는 미디어 플랫폼으로 과거 문화를 동시대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기술적 조건이 구비된 결과이기도 하겠지만, 다른 한편으론 정치 변혁에 대한 전망의 상실로부터 미래를 모색하지 못하고 과거의 문화적 활기를 희구하며 현재의 비참을 상상적으로 회복하려는 사회적 무의식의 표현이기도 할 것이다.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시절에 대한 향수, 그러니까 ‘아네모이아(Anemoia)’가 상품으로 소비되는 사회에서 1980~90년대의 성취와 좌절을 어떻게 적확하고도 정당하게 마주할 수 있을지 더욱 진지한 고민이 필요한 것 같다.
/허민 문학연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