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의 내년도 예산안이 사상 처음으로 14조원을 넘어섰다. 경북도의 2026년도 예산안은 지방세와 세외수입 감소 등 자체수입이 4.1% 줄 것으로 예상됐지만 국비보조금 등 이전수입이 7.8% 늘어 전체 예산규모는 14조363억원으로 편성됐다. 이는 올해 본예산보다 7745억원이 증가한 규모다.
경북도 예산은 2021년 첫 10조원을 돌파한 이래 매년 증가세다. 2022년 11조2527억원, 2023년 12조821억원, 2024년 12조6078억원을 기록하고, 올해는 13조원을 돌파했다. 2020년 이후 6년 만에 45.6%나 성장했다.
지방자치단체 예산편성 운용에 관한 규칙에 따르면 지방자치단체는 재원을 확보해 주민의 복리를 증진할 수 있게 하고, 경비지출의 효율성과 건전성을 높여라고 규정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가 주어진 예산을 적재적소에 잘 쓰느냐 하는 문제는 지자체 역량에 달렸다.
지역특성에 맞는 사업을 찾아 재정을 적절히 투입해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지역민의 생활 안정에 기여하게 된다면 소기의 목적은 달성한다는 것이다.
경북도는 내년도 예산을 5개 분야에 집중 투자한다고 밝혔다. △민생 안정과 경제위기 극복 △산불피해지역 재창조와 농정, 산림, 해양 대전환 확산 △저출생 대응과 인구정책 강화 △포스트 APEC 및 K-한류 선도전략 △복지와 안전중심의 공동체 등이다.
22개 시군을 둔 경북도는 예산의 배분과 지역특성에 맞는 사업지원 등 예산을 필요로 하는 분야가 유독 많다. 특히 올 초 경북 북부권에서 발생한 대형산불에 대한 피해 지원사업과 경주 APEC 성공 개최에 따른 후속사업 준비 등에도 많은 예산을 들어가야 할 판이다.
비록 사업비가 늘었다 하지만 신규 사업 수요도 적지 않게 증가했다. 재정의 효율성을 유지하기가 만만치 않다. 게다가 내수부진이라는 경기흐름으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과 개인도 많다.
적재적소 투자와 집중과 선택 등 재정 운용의 지혜를 잘 짜내 지방재정이 지역경제 활력의 마중물이 되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