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제1 산업의 쌀, 외면 받다

등록일 2025-11-17 16:40 게재일 2025-11-18 18면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강길수 수필가

11월 첫 토요일. 볼일로 흥해 들판 농로를 지난다. 어느새 온 논에 타작 마친 짚만 가지런히 깔려있다. 가을이 깊다. 올해도 쌀 풍년인지 모르겠다.

농촌 출신이어서, 쌀 사랑은 자신도 모르게 마음의 DNA가 되었나 보다. 생명 줄의 근원이기 때문이리라. 군 제대 후 첫 직장 포스코에서 인간사회는 쌀이 하나 더 있다는 걸 알았다. 바로, ‘산업의 쌀 철강’이다. 철강은 건설·자동차·전자제품 등 온 산업의 기초소재이기에 그렇다. 오늘날은 반도체·에틸렌·탄소섬유 등 각 산업에서 핵심 기초소재도 산업의 쌀로 부르기도 하지만, 이들 소재 역시 생산에 직간접으로 철강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철강은 ‘제1 산업의 쌀’이다.

지난 11월 5일, 이강덕 포항시장은 자신의 SNS에서 “한미 관세 협상 과정에서 철강은 단 한 차례 언급도 없었다”라며, “피를 토하는 심정으로 철강을 지켜낼 것”이라고 했다. 그렇다면, 정부는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철강을 외면’한 것이 된다. 우리 몸은 생명 줄 쌀이 없으면 살 수 없듯이, 철강 없는 산업이 버틸 수 있을까. 당국은 ‘값싼 외국 철강을 쓰면 된다.’라고 믿는가.

관세 협상 때 한국의 철강 침묵에 이 시장은 국내 시장이 “수입산 철강으로 대체된다면, 경제의 식민지화는 불을 보듯 뻔한 일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나아가 “기초를 잃은 첨단은 공중의 성(城)에 불과하다. 국가기간산업을 보호하고 지켜야 하는 이유다. 철강이 무너지면, 대한민국이 무너지는 이유다”라며, “정부가 산업을 포기할 권리 같은 건 없다. 이제는 말이 아니라, 정부의 과감한 대책과 결단이 필요하다. 그 책임과 행동은 역사에 길이 기록될 것”이라고 절규했다.

만일, 수입 철강을 써 국내 철강산업이 문 닫으면, 수입 철강값은 치솟을 터. 그러면 우리 철강은 망하거나, 외국에 뺏길 게 뻔하다. 나아가 자동차·전자·반도체 산업도 같은 길을 걸을 수 있다. 그땐, 후회해도 늦다. 정부가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현재 50%씩이나 관세를 물고 있는 철강 문제를 테이블에 올리지 않고 왜 침묵했을까. 대미 관세 협상 결과 설명에서도 철강 문제를 언급 안 했던 연유는 또 무엇일까.

아무리 생각해봐도, 정치적 이유 말고는 이해할 길이 없다. 철강산업과 집권세력은 무슨 연결고리를 가질까. 세계가 놀라며 인정하는 ‘한강의 기적’, 한국 경제의 대표 산업이기 때문일까. 아니면, 철강이 산업화 정부의 큰 업적이어서 외면하는 걸까. 혹, 정치 입김이 안 먹히는 산업구조를 철강이 가진 걸까. 또는, 과거 정치의 눈부신 성공에 대한 질투 때문이었을까. 이도 저도 아니면, 철강 외면의 까닭은 뭔가.

첫 직장을 포스코 공채사원으로 시작한 때문인지, 이강덕 시장의 절규가 그대로 가슴에 독화살 되어 꽂힌다. 그 봄, 청운의 꿈을 안고 젊은 은빛 자전거 출근대열에 합류하여 형산강 다리 위를 달려가던 첫 직장···. 그리운 날들이 바로 어제다. 한데, 철처럼 굳건하던 제철소 하늘에 사람의 삿된 먹구름이 낀다는 건 포항시민과 국민이 용납할 수가 없다. 부디, 정부가 ‘제1 산업의 쌀 철강’을 살려내는 길에 떨쳐나서기를 간절히 바란다.

/강길수 수필가

明鏡臺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