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피해지역 재창조와 5대 핵심 분야 중점 투자 국정과제 및 공약사업 연계 미래 먹거리 사업 준비
경북도가 총 14조363억 원 규모의 2026년도 세입·세출예산안을 편성해 도의회에 제출했다.
13일 경북도에 따르면 2026년도 예산안은 올해 본예산보다 7745억 원(5.8%) 증가한 것으로, 일반회계는 12조3595억 원, 특별회계는 1조6768억 원으로 각각 5.4%, 9.2% 늘어난 규모다.
특히, 어려운 재정여건 속에서도 국고보조금 등 이전수입을 7.8% 확대하며 전체 예산 규모를 확장했다. 지방세 및 세외수입 등 자체수입은 4.1% 감소가 전망된다.
이철우 지사는 “초대형 산불피해와 같은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하고, APEC 개최를 통해 경북의 위상을 세계에 알렸다”며 “이번 예산은 민생의 어려움을 덜고 지역경제에 새 숨을 불어넣는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경북도는 이번 예산안을 통해 침체된 지역 상권 회복과 소비 진작을 위해 소상공인 육성자금 이차보전(40억 원), 골목상권 특화거리 조성(59억 원), 지역사랑상품권 발행지원(395억 원) 등을 추진한다.
또한, 중소기업의 경영 안정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운전자금 이차보전(76억 원), 통합 마케팅 생태계 조성(33억 원), 관세피해기업 지원(10억 원)과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수소연료전지 산업클러스터 구축(150억 원), 첨단 제조혁신 테스트베드 구축(49억 원), 반도체 소재부품 시험평가센터 구축(15억 원) 등도 예산에 반영됐다.
산불피해 복구를 위한 예산으로는 산림경영특구 운영(3억 원), 마을단위 복구재생(148억 원), 조림사업(234억 원), 생태복원사업(40억 원) 등이 추진되며, 임산물 생산기반 조성(19억 원), 산림부산물 자원화 시설 구축(3억 원)도 포함됐다. 스마트농업 확산을 위한 공동영농(28억 원), 스마트APC 전환지원(113억 원), 임대형 스마트팜 조성(92억 원)도 예산에 담겼다.
영일만항 중심의 해양경제벨트 확장을 위한 화물유치 지원(9억 원), 해양기업 기술개발 및 사업화 지원(4억 원)도 추진된다.
저출생 대응에는 K-보듬6000(84억 원), 외국인 아동 보육료 지원(12억 원), 다자녀 가정 큰집마련 지원(8억 원) 등이 포함됐다. 지역혁신 중심대학 지원체계(RISE) 사업(2737억 원), K-U시티 연계 연구센터 건립(101억 원), 기회발전특구 수요맞춤형 지원사업(9억 원)도 함께 추진된다. 청년 근로자 행복카드(10억 원), 일자리 편의점 운영(6억 원), 도민행복대학 운영(8억 원)도 예산에 반영됐다.
APEC 정상회의 유산을 활용한 관광 브랜드화 사업으로 기념관 조성(25억 원), 미디어월 조성(5억 원), 외국인 관광객 유치 특화사업(4억 원)이 추진된다. 글로벌 CEO SUMMIT 창설(10억 원), PATA 연차총회 개최(10억 원), 세계 경주포럼 국제학술대회(2억 원)도 지원된다. 이색 숙박시설 조성(55억 원), K-애니메이션 강치아일랜드 시즌3 제작(8억 원) 등 문화콘텐츠 산업화도 포함됐다.
공공의료 역량 강화를 위해 의료인력 인건비 지원(50억 원), 의료원 기능보강(82억 원), 경영혁신지원(76억 원)이 추진되며, 의료취약지 의료인력 지원(14억 원), 원격협진 사업(15억 원)도 포함됐다. 어르신 대중교통 무료승차(86억 원), 경로당 행복밥상 사업(4억 원)도 예산에 반영됐다.
한편, 경북도는 성과중심 재정운용을 위해 3년 이상 지원된 지방보조사업에 일몰제를 적용하고, 부진사업은 축소 또는 폐지해 재정건전성과 효율성을 확보했다. 이번 예산안은 도의회 각 상임위원회 및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오는 12월 10일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