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감소 및 지방 소멸 공동 대응전략 발표
한·일 양국의 지방정부 수장들이 12일 인천 경원재에서 열린 ‘제8회 한·일시장지사회의’에서 인구 감소와 지역 경제 활성화라는 공동 과제에 대한 해법을 모색했다.
이번 회의는 6년 만에 한국에서 다시 열린 것으로, 양국 지방 간 교류의 복원과 확대를 위한 의미 있는 자리다. 한·일시장지사회의는 1999년 첫 회의 이후 2년마다 양국이 번갈아 개최해 왔으며, 2017년 11월 부산 회의를 끝으로 한일 관계 경색 등으로 한동안 중단된 바 있다.
이번 회의에는 한국 측에서 경북도, 인천시, 세종특별자치시, 강원특별자치도, 전북도 등 5개 시·도지사가 참석했다. 일본 측에서는 나가노현을 비롯해 이와테, 미야기, 야마나시, 오카야마, 히로시마, 도쿠시마, 후쿠오카, 구마모토현 등 9개 현 지사가 함께했다.
이날 회의의 주요 의제는 ‘인구 감소’와 ‘경제 활성화’로 참석자들은 각 지역의 정책 사례를 공유하며, 지속 가능한 지방 모델 구축을 위한 협력 필요성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특히 저출생 문제에 대한 공동 대응 방안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이 자리에서 이철우 지사는 “한·일 수교 60주년을 맞아 새로운 60년을 여는 전환점에 서 있다”며 “지방정부 간 교류가 양국 관계의 미래를 여는 중요한 열쇠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진 발표에서 이 지사는 ‘인구 감소 및 지방소멸 대응’을 주제로 수도권 집중과 저출생이라는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전국 최초로 ‘저출생과의 전쟁’ 선포와, 지난 8월 돗토리현과 공동으로 개최한 ‘저출생 극복, 경북도-돗토리현 국제공동포럼’을 언급하며, 저출생 문제해결을 위한 실질적인 정책 추진과 공동 대응 방안을 소개했다.
또한, 이날 참석한 한·일 지방정부 단체장들은 지난 60년간 쌓아온 신뢰의 바탕 위에 새로운 협력 방향을 모색하고, 미래 60년을 향한 ‘공동선언문’을 채택하고, 제9회 한일시장지사회의는 2027년 일본에서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한편, 한·일시장지사회의는 1998년 김대중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한 일본 사이타마현 지사의 제안으로 시작돼, 1999년 첫 회의가 열린 이후 양국 지방정부 간 교류의 플랫폼으로 자리잡아 왔다. 현재 한국의 17개 광역 시도와 일본의 47개 도도부현이 참여하고 있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