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혁신기술박람회 FIX 2025’ 화려한 개막 차세대 수소 전기차·자율주행 주차로봇·K-휴머노이드 등 다양한 볼거리 제공 접촉없이 자동결제 ‘티머니 태그리스 서비스’ 내달부터 대구 도시철도 시범운영 대구 이차전지 기업 엘앤에프의 우수한 LFP·NCM·양극재 라인업 체험 현장
22일 대구 북구 엑스코에서는 행사장 입구부터 인산인해였다. 동관 입구 전기차 체험 구역 앞에는 긴 대기 줄이 꼬불꼬불 이어졌다. 관람객들은 차례를 기다리며 스마트폰으로 차량을 촬영하거나 설명서를 꼼꼼히 살폈다. 오늘의 주인공은 ‘CV1’로 전기차 플랫폼 위에 승객 전용 케빈을 얹은 국내 최초 11인승 전기버스다.
차량 문이 ‘슥’ 열리자 시승자들이 호기심 어린 눈빛으로 차 안으로 들어섰다. 전동 스윙 도어와 사이드 스텝이 자연스럽게 작동하며, 탑승 편의성을 높였다. 실내는 1900mm의 높이로 확장돼 성인 남성도 허리를 펴고 설 수 있을 만큼 넉넉했다. 조용한 구동음 속에서도 안정된 주행감이 느껴졌다.
출발에 앞서 차량 제작사인 엠티알㈜ 관계자는 “앱으로 불러서 타는 수요 기반형 차량“이라며 “일반 승합차보다 크고 조용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350kW 급속 충전으로 20분이면 완충할 수 있고, 한 번 충전하면 302km를 달릴 수 있다”며 “차체에는 고장력 강판 ‘DP 590’이 적용돼 내구성이 높아졌으며, AI 기반 안전 센서와 에어백 시스템이 탑승자 안전을 책임진다”고 소개했다.
다른 전기차랑 차이점에 대해 묻자 “기본 원리는 같지만, 이건 사람을 태우는 ‘서비스용 플랫폼’이에요. 조용하고 승차감이 훨씬 부드럽다”고 답했다.
시승을 마치고 내린 용창준(21) 구미대학교 자동차학과 학생은 “실제 산업 현장에서 쓰일 기술을 체험해보니, 전기차가 하나의 ‘스마트 모빌리티 시스템’이라는 걸 체감했다”며 “학생 입장에서도 전장 제어, 충전 효율, 안전 설계 등 각 요소가 어떻게 유기적으로 작동하는지를 직접 느낄 수 있어 큰 공부가 됐다”고 말했다.
동관 안으로 발걸음을 옮기자 가장 붐비는 곳은 ‘티머니’ 부스였다. 체험 공간 입구에는 지하철 ‘동대구역’ 기둥이 있었고, 시민들은 호기심 가득한 표정으로 ‘티머니 태그리스(Tagless)’ 체험을 기다리고 있었다.
‘태그리스 서비스’는 교통카드를 꺼내거나 단말기에 접촉하지 않아도, 스마트폰만 가지고 있으면 대중교통 요금이 자동 결제되는 시스템이다. 블루투스와 스마트폰 센서, 티머니의 독자적인 위치 인식 기술이 결합된 혁신적인 서비스다.
체험존에서는 실제 지하철 게이트가 설치돼 있었다. 시민들이 태그리스 앱을 실행한 채 게이트에 다가서자 ‘삑’ 소리도 없이 문이 자연스럽게 열렸다.
체험한 한 시민이 “진짜 신기하다. 아무것도 안 눌렀는데 그냥 열렸다”고 감탄을 내뱉었다.
티머니 관계자는 “게이트에 설치된 블루투스 안테나가 스마트폰을 자동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라며 “카드 태그 없이도 위치 정보를 통해 결제가 이뤄진다”고 설명했다.
체험 버스에 올라서니 기존 카드 단말기 대신 ‘환승되었습니다’라는 안내 문구가 자동으로 떴고, 버스 내부 화면에는 승객의 입장 시간과 단말기 ID 등이 표시됐다. 앱은 이 정보를 서버로 전송해 환승 여부를 확인하고, 교통 요금을 자동으로 결제한다.
티머니 관계자는 “태그리스 서비스는 2023년 세계 최초로 서울 우이신설 경전철에서 도입된 이후 점차 전국으로 확대 중”이라며 “대구는 다음 달부터 도시철도에 시범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진혁(30·대구 수성구) 씨는 “지갑을 꺼낼 필요 없이 스마트폰만으로 모든 게 이뤄지는 게 정말 편하다”며 “출퇴근 시간대에 특히 유용할 것 같다”고 말했다.
대구 달성군에 위치한 이차전지 기업인 엘엔에프 기업도 눈길을 끌었다. 엘엔에프는 공간 내에서 스탬프 투어 이벤트를 진행했다. 투어의 첫 번째 ‘미래 혁신’ 코너에서는 엘엔애프의 우수한 LFP, NCM, 양극재 라인업을 체험할 수 있었다.
두 번째 ‘지속가능한 미래’에서는 엘엔애프 회사 소개가 이어졌고 세 번째 ‘미래 경험’ 코너에서는 회사의 X 1만 배 양극재와 기술력을 체험할 수 있었다.
엘엔에프 관계자는 “2005년 8월 리튬 이온 이차전지용 양극재 사업을 시작해 2007년 니켈 50% 함유, 2013년 70% 함유, 2020년 90% 함유, 2024년 95% NCM 양극재 세계 최초 양산에 성공했다”며 “이러한 독보적인 기술력을 기반으로 북미, 유럽, 중국, 일본 및 동남아시아에 직간접적인 공급 네트워크를 구축해 다양한 고객사 및 협력사 간의 네트워크를 통해 국제적 기업으로 도약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세 곳의 체험관을 방문 후 스탬프를 획득하고 AI 포토 체험을 완료하자 푸짐한 선물을 받을 수 있었다.
문성준 씨(21, 대구 달서구)는 “공대에 다니면서 기계 쪽보다 이차전지에 관심이 많아 공부하기 위해 부스를 방문했다”며 “차세대 배터리 기술의 핵심 소재인 전고체전지용 양극재(ASSB)와 저렴하면서도 풍부한 소재를 활용한 나트륨 이온전지용 양극재(SIB), 리튬과 망간을 풍부하게 함유한 리튬망간리치 양극재(LMR) 등을 직접 보며 설명을 들으니 매우 흥미롭고 재미있었다"고 말했다.
대구시는 22일 오전 엑스코에서 ‘이미 시작된 미래, All on AI’를 주제로 ‘2025 미래혁신기술박람회(FIX 2025)’를 열고 개막식을 개최했다.
개막식에는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 강희업 국토교통부 제2차관, 이승렬 산업통상부 산업정책실장, 이만규 대구시의회 의장, 이인선 국회의원 등 주요 인사와 브라이언 맥머레이 GMTCK 사장, 장 피에르 유니버설로봇 CEO 등 국내외 귀빈 130여 명이 참석했다.
행사에서는 엑스코 동·서관에서 다양한 기술 체험이 가능한 라인 투어가 진행됐다. 현대자동차의 차세대 수소·전기차 라인업, HL로보틱스의 자율주행 주차로봇 시연, AI이동혁신관, UAM(도심항공모빌리티) 특별관, 에이로봇의 K-휴머노이드, 유니트리의 ‘휴머노이드 복싱’ 시연 등이 소개됐다.
오후에는 샤오펑 에어로 왕담 부사장의 ‘3D 모빌리티로 개척하는 미래’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뤼튼테크놀로지스 이세영 대표, 유니버설로봇 장 피에르 CEO, LG전자 백승민 로봇연구소 소장, 한재권 교수, 벡터AI연구소 고탐 카마스 교수 등 각 분야 전문가의 강연이 이어졌다.
참관객들은 샤오펑 UAM ‘X2’ 탑승 체험, 유니트리 휴머노이드 복싱 경기, 탑로보틱스의 휴머노이드 축구 시연 등을 경험했다. 동관 로비에서는 포드 T모델부터 제임스 딘의 포르쉐 356까지 클래식카 전시와 BYD·현대차·모트렉스의 전기차 시승 행사도 진행됐다.
FIX 2025는 585개사, 2000부스가 참여한다. ‘DIFA미래모빌리티엑스포’에서는 자율주행, UAM, 전기·수소차, 이차전지, ‘로봇산업전시회’에서는 휴머노이드, 서비스, 제조, 돌봄, 배송로봇 등을 소개했다.
‘ICT융합엑스포’에서는 AI, ICT, AI 반도체, 빅데이터, 클라우드, 양자컴퓨터를 알렸고, ‘스타트업’에서는 PNP, 엑스포, 스타트업아레나, 이노베이터 페스타 등이 열렸다.
FIX 혁신상 시상식은 23일 오후 엑스코 서관에서 모빌리티, 로봇, AI 분야 혁신 기술 발굴·시상이 진행된다. 2025 GIF(창업 아이디어 경진대회)는 23일 오전 엑스코 서관에서 예비창업 5팀과 창업기업 5팀이 결선을 진행한다.
시민참여형 AI 관련 신규 강연도 개최된다. 이세돌 전 프로바둑기사가 24일 오후 1시 ‘AI, 인간과 공존을 향한 한 수’라는 제목으로 강연한다. 허성범 카이스트 출신 인기 유튜버는 25일 오후 2시 ‘AI 시대, 미래 생존법’을 주제로 시민들과 만난다.
FIX 2025 22일부터 25일까지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토요일은 오후 5시까지) 관람할 수 있으며, 동대구역에서 엑스코까지 15분 간격 셔틀버스가 운행된다.
김정기 권한대행은 “FIX 2025는 그동안 대구시가 추진해 온 산업구조 재편의 결실을 바탕으로 대구의 산업혁신 비전을 공유하는 자리”라며 “미래모빌리티와 로봇 중심의 지역산업 AX 대전환이 성공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산·학·연과 함께 힘을 모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글/장은희기자 jangeh@kbmaeil.com
사진/황인무기자 him7942@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