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새마을금고의 자산건전성이 부동산 경기 침체의 직격탄을 맞으며 빠르게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국민의힘 최은석(대구동·군위갑) 의원이 금융당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5년 6월 기준 대구·경북 지역 새마을금고의 평균 연체율은 8.8%로, 2022년 말(3.4%) 대비 5.4%포인트 상승했다. 같은 기간 고정이하여신 비율도 2.9%에서 10.7%로 7.8%포인트 급등해 불과 2년 반 만에 두 지표 모두 두 배 이상 악화됐다. 이는 지역 은행권의 여신 연체율(대구 0.72%, 경북 0.37%)은 물론, 상호금융(7.0%)이나 신협(9.1%) 등 다른 비은행권과 비교해도 높은 수준이다.
특히 지역 새마을금고의 여신 잔액이 22조 9000억 원에 달해 지역 저축은행(1조 9000억 원)의 10배를 넘어서면서, 건전성 악화 시 지역 금융시스템 전반으로 위험이 확산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실제로 새마을금고의 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2022년 이후 매년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며 지역경제의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경영실태평가 결과도 심각하다. 새마을금고는 1등급(우수)부터 5등급(위험)까지 평가되는데, 4등급(취약) 이하는 부실 우려 금고로 분류된다. 2025년 6월 기준 대구·경북 지역의 4등급 이상 금고 비율은 17.4%로 전국 평균(13.0%)을 웃돌았다. 전국 5등급 금고 7곳 중 5곳이 대구·경북에 집중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 의원은 “대구·경북 금고의 연체율과 부실 비율은 이미 경고등을 넘어 적신호 단계에 진입했다”며 “이는 단순한 일시적 부진이 아니라 부동산 부실이 지역 금융 전체로 전이될 수 있는 위험 국면”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금융당국은 뒤늦은 사후 점검에 그칠 것이 아니라, 위험 금고를 선제적으로 관리하고 구조개선 대책을 즉시 가동해야 한다”며 “새마을금고를 지키는 일은 곧 지역경제를 지키는 일이라는 인식으로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은희기자 jange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