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 남구 오천읍 항사리 일원에 추진 중인 ‘항사댐 건설사업’이 복잡한 행정 절차와 입찰 부진 등으로 지연되면서 지역의 치수 안전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항사댐은 냉천·신광천·항사천 유역의 홍수 피해를 줄이기 위해 계획된 대형 수자원 인프라로 2017년 포항시가 ‘댐 희망지 신청제’에 항사댐 건설을 포함해 정부에 신청하면서 사업이 본격화됐다.
하지만 2018년 물관리 일원화 정책으로 관련 업무가 환경부로 이관된 후 표류하다 2022년 태풍 힌남노로 오천 지역에 대규모 침수 피해가 발생하자 사업 필요성이 다시 부각됐고,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및 국회 동의를 거쳐 추진 동력을 확보했다.
항사댐은 콘크리트 중력식(CGD) 또는 표면차수벽형 석괴댐 방식으로 건설이 검토되고 있다. 높이 약 50m, 길이 약 140m 규모로 계획됐으며 총 저수용량은 약 443만㎥다. 사업비는 당초 900억 원대에서 현재 1066억 원으로 불어났고, 국비 90%, 지방비 10% 분담 구조다.
이 댐은 경북도가 2024년 건설사업 기본계획을 고시하고 실시설계 및 전략환경영향평가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당초 착공은 2025년으로 계획됐다.
그러나 사업일정이 지연되면서 2026년 초 착공, 2029년 완공 목표로 수정됐다. 최근에는 착공이 내년 3월로 다시 연기될 가능성까지 내부에서 흘러나온다.
공사 발주 규모가 약 971억 원에 달하는 이 사업이 공기지연을 반복하는 것은 그동안 진행된 수차례의 입찰 과정에서 시공사 응찰이 없었기 때문이다. A건설사 관계자는 “내부 검토 결과 수익성은 커녕 손실이 예상돼 서류조차 내지 않았다”고 말했다.
유찰이 거듭되자 경북도와 포항시는 현재 공법 변경도 논의하고 있다. 포항시 남구 오천읍 출신 시의원들은 “사업이 시급해 예타가 면제되면서 행정절차가 단축됐지만, 시공사 선정 실패로 그 잇점이 무색해졌다”며 안정적인 입찰 방식과 리스크 분담 구조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항사댐 하류 주민들은 댐 건설 과정에 시민의견을 제대로 반영시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어 향후 갈등이 예상된다. 환경 훼손과 주민 보상 문제, 지질 안전성 확보, 단층 가능성, 생태계 파괴 우려 등에 대한 목소리가 설계 및 시공 과정에서 보다 정밀하게 검토돼야 한다는 것이다.
또 주민설명회를 열어 댐 완공 후 오어지 방수로 및 하류 수계 관리 등에서도 이해를 구하는 등의 절차를 요구하고 있다.
/임창희기자 lch8601@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