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구·경북, AI 행정 핵심 ‘데이터직 공무원’ 전무

고세리 기자
등록일 2025-10-20 20:02 게재일 2025-10-21 4면
스크랩버튼
한병도 의원 “전국 전산직 중 AI 업무 담당 7.6% 불과···대구 2%, 경북 2.32% 수준”
Second alt text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

정부와 전국 지방자치단체가 인공지능(AI) 기반 행정 도입을 추진하는 가운데 이를 뒷받침할 전문 인력인 데이터직 공무원이 대구·경북(TK)의 광역·기초 지자체에는 단 한 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이 20일 행정안전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9월 기준 전국 243개 지자체(광역 17곳·기초 226곳)의 전산직렬 공무원 총 4549명 중 AI·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 업무 등을 수행하는 데이터 직류 공무원은 광역 4명, 기초 15명 등 총 19명에 불과했다. 이는 전국 전산직렬 공무원의 약 0.4% 수준이다.

특히, 대구시와 9개 구·군, 경북도와 22개 시·군에는 데이터직 공무원이 1명도 없었다. 서울·부산·인천 등 주요 대도시 광역·기초 지자체에도 데이터직 공무원이 전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광역단체 중 데이터직 공무원이 있는 곳은 광주(4명)가 유일했고, 기초자치단체에선 광주(3명), 충남(8명), 강원(3명), 전남(1명) 등 4개 지역 15명뿐이었다.

데이터직 공무원 부족으로 인해 현재 대부분의 지자체에서는 기존 전산직 공무원이 AI 관련 업무를 본연의 정보시스템 관리·보안 업무와 함께 겸직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전국 전산직렬 공무원 중 7.6%인 349명이 AI 업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시의 경우 전산직 공무원 100명 중 2명이, 경북도는 전산직 공무원 43명 중 1명이 AI 관련 업무를 맡고 있다.

데이터 직류는 빅데이터 분석에 특화된 직류로 2020년 신설돼 2023년부터 채용이 시작됐으나, 5년간 인력 확충은 지지부진한 상태다. 이로 인해 지자체마다 업무량 급증, 전문인력 부족, 보안·윤리 관리 강화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내년 AI 기본법 시행 대응에도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한병도 의원은 “데이터·AI 직무체계 개편 로드맵을 마련하고 광역 단위 공동정원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고세리기자 ksr1@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