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APEC 오는 트럼프·시진핑… 논의될 주요 의제는?

박형남 기자
등록일 2025-10-20 19:48 게재일 2025-10-21 3면
스크랩버튼
美·中 정상 13년만의 동시 방한
관세 협상·AI동맹 등 논의 가능성
협력 리더십 담은 ‘경주선언’ 주목
Second alt text
경주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13년 만에 동시 방한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경북매일 미디어팀

전 세계의 이목이 경주로 집중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경주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13년 만에 동시 방한하기 때문이다. 세계 양강의 정상을 비롯해 21개국 정상들이 한 자리에 모임으로써 APEC 정상회의에서 논의될 사안들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번 APEC 정상회의 주제는 ‘우리가 만들어 가는 지속 가능한 내일’이고, 중점 과제는 ‘연결, 혁신, 번영’이다. APEC 의장국인 한국은 이 같은 주제에 걸맞게 AI(인공지능), 인구구조 변화 대응 등의 의제처럼 정치적 갈등이 덜하면서도 미래지향적 경제·사회적 이슈들을 선정했다. 이번 APEC 회의를 통해 회원국들이 공감할 새로운 모델을 ‘경주선언’에 담아낸다면 협력의 리더십을 확인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오는 28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주관하는 ‘APEC CEO 서밋’에서는 AI, 반도체, 에너지 전환 등 글로벌 경제 현안을 논의한다.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SK그룹 회장)의 초청으로 경주를 방문하는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반도체와 AI 생태계 구축을 주제로 연설하고, 샘 올트먼 오픈 AI CEO 등도 AI 협력과 관련한 의제를 제시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가 차원의 AI 동맹 논의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은 “우리가 중심이 된 AI 동맹을 만들어야 한다”며 APEC 정상회의에서 싱가포르, 일본 등과 ‘AI 연대’에 나설 가능성을 시사했다.

경주 APEC에서는 ‘관세 협상’이 뜨거운 감자가 될 전망이다. 관세 협상이 마무리되지 않으면서 포항 철강 산업이 심각한 위기 상황을 맞고 있고 한국 기업에 대한 부담감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경주 APEC 계기로 관세 문제를 마무리하기 위해 미국과 협상을 진행했다. 이와 관련, 대통령실 김용범 정책실장은 “방미 협의에서 대부분 쟁점에 대한 실질적인 진전이 있었다”면서도 “여전히 조율이 필요한 부분이 남아있다”고 밝혔다. 

핵심 쟁점은 대미 투자펀드에 대한 구체적인 운용 방식이다. 미국은 전부 직접 투자 방식으로 운용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반면 한국은 국내 외환시장 충격 등을 고려해 직접 투자 비중을 조정하고 대출·보증 방식을 늘려야 한다고 맞서왔다.  이에 따라 오는 29일 열리는 경주 APEC 한미 정상회담에서 공동성명 수준의 합의문을 이끌어낼 수 있을 지 여부가 최대 관심사다. 

이와함께 오는 11월 1일 경주에서 열릴 예정인 한중 정상회담에서 이 대통령이 시 주석에게 북한 문제와 관련해 중국의 협조를 이끌어낼 수 있을 지 여부도 관전포인트다. 

이 외에 미중 정상회담도 오는 30일 예정된 대로 경주에서 열리면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이 6년 만에 공식 대면 회담을 가지게 된다. 양국은 최근 무역 분야에서 고율 관세 및 희토류 수출 규제 등으로 갈등을 겪고 있는데 이번 회담을 계기로 해법을 마련할 수 있을 지 여부에 관심이 모아진다. 나아가 트럼프 발 관세전쟁, 보호무역주의 심화 등 급변하는 국제무역질서 속에서 APEC의 근간인 ‘자유무역질서’ 문구가 경주 선언에 채택될 지 여부도 관심사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