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천’과 ‘실’과 ‘바늘’이 함께 놀면 작품이 되죠

윤희정 기자
등록일 2025-10-14 17:53 게재일 2025-10-15 14면
스크랩버튼
인터뷰▷▷▷ 자수작가 김향미
29년 전 바느질에 입문···공모전 입상·전시회·강연 등 활동 왕성
버려지고 오래된 소재에 자수 더한 업사이클링 작업에도 심혈
Second alt text
김향미 자수 작가. /독자 제공

"제 손은 섬섬옥수와는 거리가 한참 먼 거친 손이어서 사람들 앞에서 자신 있게 내밀지 못해요. 그러나 이 거친 손이 제겐 더없이 고맙고 사랑스럽습니다. 이 손으로 수를 놓고, 작품을 만드는 것이니까요. 제 손에서 천과 실과 바늘이 함께 놀면 작품이 되니까 사실은 자랑스러워해야 예의이겠죠? 사각사각 천을 자르는 가위 소리가 제겐 그 어떤 노랫소리보다 즐겁고, 천 위에 온갖 형상을 새기고 빚어내는 작업을 하며 늘 행복한 기대를 하게 되죠.”

실노리공방 김향미(60) 대표는 자수작가이자 대구의 평생학습센터에서 명성이 자자한 생활 자수 강사다. 수성구평생학습센터, 수성문화원, 가톨릭대학평생교육원에서 자수를 가르치면서도 이화자수연구회 정회원, 자연닮기업사이클링연구소장으로도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다. 지난 13일 작품전 준비로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김향미 작가를 어렵게 만났다.

- 어떻게 자수를 하게 됐는지?
△국어국문학을 전공했고, 졸업 후에는 가르치는 일을 했다. 나름 보람되기도 했지만, 늘 “나를 위한 행복한 직업은 무엇일까?” 하는 고민이 있었다. 29년 전인 1996년 퀼트를 접하며 바느질에 매력을 느꼈다. 조각조각 다른 색의 천을 잇는다는 것이 무척 재미있었다. 그때 내가 가장 좋아하고 잘할 수 있는 게 바느질이라는 걸 깨달았다. 이후 자수, 침선, 그림, 염색, 다도, 민화, 천아트 등 손으로 하는 공예라면 무엇이든 즐겼다. 밤새워 작업해도 지치지 않을 만큼 행복했다. 결국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작은 작업실을 얻었다. 취미가 일이 된 순간이자 꿈을 이루는 순간이기도 했다. 옆지기(남편)의 응원 덕분에 용기를 낼 수 있었고, 지금도 설레고 감사한 마음이다.

-처음부터 한 것은 아니었지만 성과가 큰 듯하다.
△퀼트로 시작해서 자수와 예절지도사 등 자격증을 취득했고, 대학교평생교육원과 평생학습센터 등에서 강의를 이게 됐다. 대구시 여성회관 창업보육센터에 자수공방 창업자로 3년간 입주해서 1인 창업에 도움을 받았다. 전통자수의 현대화와 실용화를 위해 생활 자수 개념으로 강의하는데 매우 호응이 좋았다. 이후 박람회, 플리마켓, 마을축제 등의 행사에 생활 자수 소품을 선보였고, 최근에는 대구시 수성구 캐릭터(뚜비)를 활용해 자수를 입히는 강의도 진행했다. 대구공예품대전, 대구관광기념품디자인공모전, 안동기념품공모전에 입상하기도 했다. 두 번의 개인전, 다수의 회원전과 자수, 한복, 염색, 민화 등 타 장르와의 콜라보 전시와 교류전도 가졌다.

- 자수에 대한 무한 애정이 느껴진다. 나눔을 실천한다는 생각이 든다.
△자수를 빼고 나의 삶을 이야기하기는 힘들 것 같다. 자수는 문화유산으로서 우리의 생활상을 담고 있다. 느리지만 한 땀 한 땀 수를 놓으며 마음의 안정과 몰입감을 얻을 수 있다. 단순한 기술을 넘어 예술적 가치와 문화적 의미를 품을 수 있다는 것을 알리고 싶었고, 교육을 통해 사람들과 함께 배우고 소통하고자 했다. 자수 강사들의 모임인 이화자수연구회에서 활동하면서 자수의 전통성과 예술성을 추구하고 있다.

-업사이클링연구소에서는 어떤 일을 하는지?
△버려지고 오래된 소재에 자수를 더해 새로운 가치를 불어넣는 작업을 하고 있다. 단순한 재활용이 아니라, 이야기를 담아 더 높은 가치로 끌어올리는(up-cycle) 것이다. 요즘은 버려지는 한복으로 작은 인형 한복을 만들고 있는데, 1년 뒤쯤 전시회를 계획하고 있다. 동성시장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했는데, 청바지, 가방, 병뚜껑, 그릇을 리폼하거나 조각천에 자수를 놓아 그림으로 완성하기도 한다. 헌 청바지의 일부분이 눈베개가 되거나 액자 속 그림으로 변신하는 과정은 매우 뜻깊다. 업사이클은 내 손끝에서 낡음이 새로움으로 바뀌는 작업이라는 점에서 자수와는 또 다른 매력과 보람이 있다.

-강의와 작업을 하는 바쁜 중에도 또 다른 취미도 있다고 들었다. 앞으로의 계획은?
△손끝으로 하는 작업은 집중력이 필수여서 요즘은 일기처럼 매일 저녁 불경, 명언, 시구 등을 필사하는 습관을 들였다. 좋은 글귀를 옮기는 일은 명상과도 같아서 하루를 되돌아보고 감사하는 마음을 갖게 한다. 아마도 오래도록 자수를 손에서 놓치고 싶지 않다는 마음의 표현일지도 모르겠다. 앞으로도 수놓는 삶을 놓지 않고 오랫동안 이어가고 싶을 뿐이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