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훈 달서구청장 “설계 전면 수정” 공개 요구
대구시청 신청사 설계안을 둘러싼 갈등이 결국 공개 충돌로 번졌다. 대구시와 달서구가 정면으로 맞선 것이다.
13일 오전 시청 지방기자실에서 이태훈 달서구청장이 설계안 전면 수정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열려고 하자 대구시가 같은 시간대에 ‘대구시 하수관로정비 민자사업’ 기자설명회가 예정돼 있어 불가능하다며 맞섰다. 이 과정에서 양측 사이에 고성이 오가면서 실랑이가 벌어졌다.
대구시는 애초 달서구에 이날 오후 차담회 형식의 기자간담회를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태훈 달서구청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기로 합의가 끝났고 차담회는 보고 받은 바 없다”며 기자회견을 강행했다.
이 구청장은 “이번 신청사 설계는 그저 행정기관의 건물을 짓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며 “대구의 자존심과 정신을 담아내지 못한 채 28년 전 부산청사와 다를 바 없는 전형적인 건물이 되는 꼴”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신청사가 단순한 공공청사가 아니라 ‘대구 정신을 상징하는 기념비적 건축물’이 돼야 한다”며 “2·28민주운동의 자유 정신, 국채보상운동의 애국 정신, 근대화 개척 정신 등 대구의 자랑스러운 역사와 시민 정신을 담아내야 한다”며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했다.
이 구청장은 향후 행정 수요를 고려한 전략적 부지 활용도 주문했다. 그는 “교육청·경찰청·노동청 등 정부기관 입주까지 염두에 두고 부지를 계획적으로 사용해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시민들이 염원했던 광장 기능도 사라지고 만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이미 선정된 업체라고 해서 책임을 피할 수 없다”며 “대구시는 설계 회사에 시민의 꿈을 반영하도록 요구해야 하며, 지금이라도 잘못된 방향이라고 판단하면 당장 멈추고 새로운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대구시 관계자는 “당초 달서구는 신청사를 2·28민주운동을 기념하는 차원에서 56층으로 할 것을 공문으로 제안했으나 예산이나 부지 면적을 감안했을 때 불가능한 사안”이라며 “현재 2.28민주운동 기념하는 차원에서 28층 규모를 논의 중에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신청사 부지에 교육청, 경찰청 등의 기관을 입주하는 것도 내년 10월 중앙투자심사를 받아야하는 입장에서 불가능한 제안”이라며 “행정가 출신인 달서구청장이 행정업무를 모를 리 없는데 왜 그런 발언을 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했다.
대구시는 내년 신청사 착공, 2030년 준공을 목표로 달서구 옛 두류정수장 터(7200여㎡)에 약 4500억 원을 들여 신청사를 건립할 계획이다.
하지만 신청사 건립을 위한 재원은 아직 확보되지 않았다. 전체 사업비 4500억 원 중 현재 보유한 재원은 신청사 건립 기금으로 모아놓은 700억 원이 전부다.
대구시는 공유재산 23건을 매각해 잠정적인 감정가에 해당하는 4200억 원을 확보할 계획이지만 지금까지 팔린 공유재산은 도로 부지 1건(77억 원) 뿐이다.
글·사진/장은희기자 jange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