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치의학연구원 설립을 앞두고 입지선정을 둘러싼 지역 간 긴장감이 높아지는 가운데, 대구 정치권이 국회에 “공정하고 투명한 공모 방식”을 공식 요청하고 나섰다.
특정 지역 지정 방식이 아닌, 국가 차원의 평가에 따라 입지를 결정해야 한다는 취지다.
국민의힘 이인선(대구 수성을) 대구시당 위원장은 13일 국회 보건복지위원장인 박주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만나 “국립치의학연구원 입지선정이 공모방식으로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자리에는 박세호 대구시치과의사회장, 이원혁 국립치의학연구원 대구유치위원장, 서귀용 대구시 의료산업과장 등도 배석했다.
이 위원장은 “국립치의학연구원은 국가 치의학기술 발전을 선도할 핵심기관”이라며 “국민적 납득과 산업적 타당성을 확보하려면 공정하고 투명한 절차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대구는 첨단의료복합단지, 경북대 치과대학, 의료기기 기업 등 치의학 연구-산업 연계 인프라를 모두 갖춘 최적지”라고 강조했다.
국립치의학연구원 설립 논의는 지난 2012년부터 본격화됐고, 작년 1월 관련 법안인 ‘보건의료기술진흥법 개정안’이 통과되면서 법적 기반을 마련했다. 현재 복지부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을 통해 ‘설립 타당성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진행 중이며, 이달 내 최종 보고서가 나올 예정이다.
대구시는 이미 지난 2023년 8월 유치추진단을 구성하고, 복지부에 공모방식 추진을 지속적으로 건의했다. 작년에는 전국 4개 시·도 치과의사회 공동성명(4월), 12개 치과대학·치과병원 지지선언(5월), 국회 토론회 개최(9월) 등 연속적인 활동을 펼쳐왔다. 대구시의회는 지난 7월 연구원 유치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할 ‘대구시 치의학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도 제정한 바 있다.
대구 정치권이 직접 국회를 찾아 입장을 전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충남 천안시, 부산시, 광주시가 유치전에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대구시도 본격적인 여론전과 정책 대응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이다.
박세호 회장은 “치의학연구원은 국가 R&D 전략의 균형과 산업기반과의 연계를 위한 과학적 판단이 필요한 사안”이라며 “공모 없는 지정 방식은 국민 누구도 납득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이원혁 대구유치위원장은 “치의학연구원 입지 선정은 국가 보건 전략과 산업 경쟁력을 기준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보건복지부는 이달중 용역 결과를 검토한 뒤 올해 12월쯤 기본방침을 확정, 내년 초 사업공고를 할 예정이다.
/장은희기자 jange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