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24개 종점 마을 찾아 기록 문화·풍경, 수필·사진으로 포착
안동에서 활동하는 수필가이자 여행작가 서미숙이 최근 대구시 중구 ‘북랜드 문화공간 라온’에서 ‘종점 기행’ 북토크를 열었다.
‘안동 시내버스 종점 기행’은 저자가 4년간 안동의 24개 종점 마을을, 시내버스를 타고 직접 찾아가 기록한 작품이다. 그 속에 담긴 지역의 문화와 사라져가는 풍경을 수필과 사진으로 포착했다. 안동 시내버스 종점이라는 구체적인 공간을 다루고 있지만, 그 안에는 보편적인 삶의 이야기가 녹아 있어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책이다. 구수한 안동 토박이말로 들려주는 어르신들의 이야기를 듣는 재미도 각별하다.
이 책은 독자에게 두 가지 길을 제안한다. 책을 읽고 종점 기행에 나서도 좋고, 책장을 넘기며 와유(臥遊)하듯 간접적으로 경험하는 것만으로도 의미 있는 여행이 된다. 이러한 점에서 ‘종점 기행’은 한 지역의 기록을 넘어, 일상에서 발견하는 삶과 여행의 가치를 일깨우는 작품이다. 이번 북토크는 북랜드 라온 문학 TV 주관으로 마련되었다. 평론가 신상조의 진행으로 ▲저자의 집필 배경과 현장 취재담 ▲책 속 주요 작품 낭독 ▲독자와의 질의응답 ▲사인회 순으로 이어졌다. 종점 사진 슬라이드를 감상하면서 현장감 있는 저자 이야기와 독자 낭독을 듣는 즐거움이 있었다. 안동 사투리 느낌을 제대로 살린 서정오 동화작가, 권순이 수필가, 김경숙씨, 남은숙씨가 책 속 이야기 낭독에 참여했다.
이날 행사장에는 장호병 한국문인협회 이사장, 은종일 수필과 지성 원장, 서정오 동화작가, 번남댁 종손, 지리산문학관 김윤숭 관장, 정만진 소설가, 김용락 시인, 문장작가회 회원, 수필과 지성 동인, SNS 통한 신청자 등 독자들이 참여해 성황을 이루었다. 장호병 교수 축사와 신상조 평론가의 재치 있는 진행으로 질의응답이 이어져 분위기가 훈훈했다.
독자 최윤정씨는 “책 한 권이 이렇게 많은 이야기와 의미를 담고 있을 줄 몰랐다”라고 했다. ‘수필과 지성’ 동인 윤흥용씨는 “'종점 기행' 책을 내기까지의 여정이 참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새벽 첫차를 타고 가 막차를 타는 그 수많은 시간의 흔적이 오롯이 책 속에 담겨 있어서 고개가 숙여졌다. 오랜만에 글의 힘이 느껴졌던 시간이었고 내 마음속 한쪽 귀퉁이에 웅크리고 있는 글 샘이 솟아나는 기분을 느낀 시간이었다"라고 했다.
/이병욱 시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