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시 ‘신기 팩토리 페스타’ 성황…점촌4동 도시재생의 새 출발
문경시가 오랜 산업유산을 시민과 함께 되살렸다.
지난달 27일 쌍용양회 문경공장 부지에서 열린 ‘신기 팩토리 페스타’에는 지역 주민과 방문객 600여 명이 모여 산업유산을 문화공간으로 바꾼 첫 도시재생 축제를 함께 즐겼다.
이번 행사는 문경시와 문경시도시재생지원센터가 주최하고, 한국사진작가협회 문경지부와 점촌4동 도시재생 축제추진위원회가 주관해 열렸다. 주민이 직접 기획하고 실행한 ‘주민 주도형 축제’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축제의 시작은 점촌4동 풍물단의 힘찬 길놀이였다. 이어 무대 공연, 체험 프로그램, 먹거리 장터, 판매 부스가 잇따라 열리며 남녀노소가 함께 어울리는 화합의 장이 펼쳐졌다.
특히, 수십 년간 일반인에게 닫혀 있던 쌍용양회 문경공장의 공간이 이날만큼은 문화적 무대로 변신했다. 공장 해설 투어로 해설과 함께 공장 내부와 흔적을 돌아보며 산업의 역사를 되새겼고, 특별 공연으로 지역 뮤지션 ‘베이신’의 무대가 방문객들의 뜨거운 환호를 이끌어냈다. 사진전 ‘시간의 흔적, 쌍용양회’로 옛 공장 전경과 노동 현장을 담은 기록이 세대를 아우르는 공감과 향수를 자극했다.
한 방문객은 “아버지가 젊은 시절 근무했던 공장을 이렇게 문화 공간으로 다시 보니 뭉클하다”며 “이곳이 단순히 과거의 공간이 아니라 미래로 이어지는 희망의 무대가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이번 페스타의 가장 큰 의미는 주민 스스로 축제를 만들고 운영했다는 점이다. 준비 과정에는 점촌4동 주민회뿐 아니라 문경대학교 농산업마케팅과 학생들, 점촌4동 자율방범대, 의용소방대, 기대그린, 도로교통공단 등 다양한 지역 단체가 참여해 힘을 보탰다.
이 과정에서 주민들은 기획부터 운영까지 직접 참여하며 ‘내 마을 축제’라는 주인의식을 다졌고, 이는 축제의 성공을 이끈 원동력이 됐다.
윤효근 문경시도시재생지원센터장은 “이번 축제는 주민들이 함께 소통하며 지역에 대한 자부심을 되살리는 계기였다”며 “주민 역량을 기반으로 점촌4동만의 특색 있는 도시재생 모델을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신현국 문경시장은 “신기 팩토리 페스타는 주민 여러분의 뜨거운 열정과 참여 덕분”이라며 “오랫동안 닫혀 있던 산업유산이 문화와 활력의 공간으로 다시 태어난 만큼, 앞으로도 점촌4동 도시재생사업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쌍용양회 문경공장은 한때 지역경제를 떠받쳤던 대표적 산업 현장이었지만, 산업구조 변화와 함께 긴 시간 문을 닫고 침묵의 공간으로 남아 있었다. 이번 ‘신기 팩토리 페스타’는 그 공간을 주민의 힘으로 열어내며 ‘돌가루 날리던 공장’을 ‘웃음꽃 피는 광장’으로 바꾼 상징적 사건으로 기록될 것이다.
문경시는 이번 축제를 계기로 산업유산을 활용한 도시재생 모델을 발전시켜, 점촌4동을 비롯한 구도심 전역에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구상이다.
/고성환기자 hihero202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