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길 찾아, 고개 찾아… 아이들과 함께 지역을 누비는 문경YMCA 김세영 총장

고성환 기자
등록일 2025-09-25 09:19 게재일 2025-09-26 10면
스크랩버튼
문경 미래 지역 아이들에 달려
지역 곳곳 ‘길 찾아, 고개 찾아’
청소년 역사·문화교육 체계화
‘마을이름 지도 만들기’기획중
Second alt text
지난 15일 개통 70주년을 맞은 가은역 앞에서 김세영 총장이 가은지역아동센터 아이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문경YMCA 제공

문경YMCA 김세영 사무총장은 늘 현장에서 아이들과 함께한다. 길을 걷고, 고개를 넘고, 오래된 역사를 찾아가며 아이들에게 지역의 숨결을 직접 느끼게 한다. 지난주 가은지역아동센터와 함께한 가은역 개역 70주년 체험학습 역시 그의 손길에서 비롯됐다. 

김 총장은 지난해 점촌역 개통 100주년 기념행사에도 청소년들과 함께 참여해, 지역 철도의 발자취를 다시 짚었다. 올해는 가은선 개통 70주년의 의미를 되살리며, 지역 청소년들에게 “내 고장의 역사를 아는 것이 애향심의 뿌리”라는 메시지를 전했다. 

Second alt text
지난 15일 개통 70주년을 맞은 가은역 철도레일에서 기념포를 취하고 있는 가은지역아동센터 학생들. / 문경YMCA 제공

아이들의 반응은 뜨거웠다. “우리 동네 기차역이 70년이나 된 줄 몰랐다”는 놀라움, “앞으로 내 고장의 역사를 더 공부하겠다”는 다짐은 단순한 체험 이상의 울림이었다. 김 총장이 강조해 온 ‘현장 속 역사 교육’이 살아 있는 효과를 보여준 것이다. 

그는 “애향심은 책 속에서만 생기지 않는다. 직접 보고, 듣고, 느낄 때 비로소 마음속에 자리 잡는다”고 말한다. 그래서 그는 청소년들과 함께 지역의 옛길을 걸으며, 원도심 기행을 하고, 마을 이름지도를 만드는 작업을 기획한다. 지금 기록하지 않으면 80~90대 어르신들과 함께 사라질 수 있는 향토사를 반드시 지켜내야 한다는 절박함 때문이다. 

Second alt text
지난 15일 개통 70주년을 맞은 가은역을 가은지역아동센터 아이들과 찾은 모습. /문경YMCA 제공

김 총장의 활동은 지역 공동체 전체를 향한다. 그는 학교와 교육청, 문경시가 함께 힘을 모아 지역 청소년 역사·문화 교육을 체계적으로 확장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단발성 행사가 아니라, 청소년들의 성장 과정에 자연스럽게 녹아드는 ‘지역사 사랑 운동’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의 행보는 조용하지만 단단하다. 아이들에게는 지역을 사랑하는 씨앗을 심고, 지역사회에는 문경의 정체성을 이어가는 길을 놓고 있다. 김세영 총장이 이끄는 발걸음 속에, 문경의 미래가 차곡차곡 쌓여가고 있다.

/고성환기자 hihero2025@kbmaeil.com

북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