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역 6개 수련병원(경북대병원·칠곡경북대병원, 영남대병원, 계명대동산병원, 대구가톨릭대병원, 대구파티마병원, 대구의료원)들이 지난 주말 전공의 모집을 마감한 결과 대부분 정원의 절반만 채웠고, 그마저도 ‘내외산소’(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로 불리는 필수의료 분야는 지원자가 없는 경우가 수두룩했다고 한다.
수련병원들이 진료과별 지원자 현황을 공개하진 않았지만, 병원 안팎에서는 필수의료과목은 대부분 미달이거나 지원자가 0명이고, 피부과·영상의학과 등 인기과에 지원자가 몰렸다는 말이 나온다. 기존 필수의료과 전공의 상당수는 수도권 병원으로 진료과목을 바꾼 것으로 추정된다. 윤석열 정부가 느닷없이 추진한 의료개혁이 오히려 필수의료 과목을 아예 망가뜨리는 결과를 낳은 것이다.
필수의료 중 특히 걱정되는 진료과목은 소아청소년과(소아과)다. 소아과 의사부족 현상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의대에서부터 소아과가 힘들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전공의 지원자가 계속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기존 소아과 개업의들도 미용·통증 클리닉 등으로 간판을 바꿔 달거나 폐업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고 한다.
최근에는 대도시인 대구에서도 소아과 병원이 귀해지면서 병원 문을 열기 전에 보호자들이 아이를 안고 길게 줄을 서는 ‘오픈런’ 풍경이 낯설지 않다. 열이 펄펄 나는 아이와 밤새 시름을 하다 날이 새자마자 병원으로 달려온 부모들이 대부분이다. 요즘은 예약받는 소아과도 많아져 제때 진료를 받기가 더 어려워졌다.
정부는 10여 년 전부터 밤 시간대와 휴일에 진료를 보는 ‘달빛어린이병원’을 각 시·도별로 도입했지만 큰 성과는 내지 못하고 있다. 소아과 전문의가 절대적으로 부족한데다 임상병리사, 방사선사, 원무과 직원 등 간호사를 포함한 수반 인력 및 교대 인력을 지속적으로 확충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설사 인력을 구하더라도 야간 수당 등에 대한 기존 수가가 너무 낮아 이직이 잦다고 한다.
의대생들의 필수의료과목 기피로 앞으로 소아과 진료 전쟁은 더 심해질 것으로 보인다. 지금 추세대로 수련 전공의들이 줄어들 경우 3~4년 뒤에는 소아진료 공백 대란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의대생들이 소아과를 기피하는 이유는 다양하다. 근본적인 문제는 낮은 수가(진찰·수술비)다. 동네 소아과 수익의 대부분은 진찰료인데 1인당 평균 진료비는 1만2000~1만4000원 선이다. 그리고 우는 아이를 달래면서 진료하는 게 어려울 뿐 아니라, 맘카페 등에 입방아라도 오르면 엄청난 곤욕을 치러야 하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소아과 진료난이 심각하다는 것을 보건당국도 잘 알 것이다. 필수 진료 과목에 대한 현실적인 보상 체계 도입과 공공의료 확충 등 파격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당장 소아과 전문의면서 소아 진료를 포기한 의사 중 진료 수가를 높이고 근무 여건을 개선하면 소아 진료로 복귀할 사람들이 적지 않을 것이다. 소아진료 대란이 생기기 전에 특단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 아이가 아파도 주변에 갈 병원이 없다면 누가 아이를 낳으려고 하겠는가.
/심충택 정치에디터 겸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