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동혁 대표 취임 이후 국민의힘 당내갈등이 차츰 해소되는 것 같아 다행이다. 제1야당의 내분은 여당 입법독주의 핵심요인으로 작용한다. 전당대회 당권경쟁 때부터 “내부총질을 하면 결단하겠다”고 강경자세를 보였던 장 대표는 최근 연일 ‘원팀’을 강조하고 있다.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을 두고 장 대표와 사사건건 부딪혔던 6선의 조경태 의원도 지난 주말 중진회의 참석 후 “내부 갈등과 분열을 극복해나가겠다. 앞으로 많은 대화를 나누고, 소통을 자주 했으면 좋겠다”고 기자들에게 밝혔다. 장 대표와의 갈등을 수습하려는 의지를 표현한 말로 여겨진다.
8·22 전당대회 과정에서 마치 ‘콩가루 집안’ 같았던 국민의힘이 이제 한 가족이 된 것처럼 보인다. 의원 107명이 하나로 뭉쳐 여당 폭주에 맞서야 한다는 당위성을 공유한 듯하다. 지난주 중진의원 회동에서 지적됐듯이, 국민의힘이 단일대오를 유지하려면 우선 탄핵반대파와 찬성파가 진심으로 서로의 생각을 인정해 주는 자세가 선행돼야 한다. 그러자면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에 대한 당의 정체성부터 선명하게 정립할 필요가 있다.
대구지역 국민의힘 지지자들의 얘기를 들어보면, 열성 당원이 아니더라도 대부분 윤 부부에 대한 특검 수사 강도에 반발심을 가지고 있다. 유죄 여부를 떠나 수감생활을 하고 있는 전직 대통령 부부에 대한 동정심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동정심은 탄핵 찬반과 관계없는, 지극히 인간적인 감정 표현이다. 대구·경북 출신 국회의원들의 경우 ‘친윤계’가 아니더라도 이러한 민심을 외면할 수 없을 것이다.
당내 탄핵찬성 의원들이 민주당의 내란 프레임에 동조해 이러한 동정심마저 매몰차게 걷어차면 당은 산산조각 날 수밖에 없다. 찬탄파 의원들도 국민의힘이 열성당원 없는 정당이 되는 것을 원하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고 탄핵반대파가 당의 주류라고 해서 소수인 찬탄파 인사들을 쫓아내려고 해서도 안 된다. 그들은 당심보다 민심을 얻는데 주력하고 있지 않은가. 각종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윤 전 대통령 탄핵에 대해 국민 10명 중 6명이 찬성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이들이 없으면 외연확장이 불가능하다. 내년 지방선거나 2028년 총선을 감안하면 한동훈 전 대표, 유승민 전 의원, 나아가서는 개혁신당 이준석 대표와도 한솥밥을 먹어야 좁은 울타리를 벗어날 수 있다.
민주당이 지금 가장 바라는 것은 야당의 내분이다. 서로 편을 갈라 당심과 민심 모두를 갉아먹고 있는데, 이보다 더 좋은 정치지형이 있겠는가. 국민의힘 찬탄, 반탄 두 계파는 하루빨리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면서 포용해야 한다.
국민의힘이 최근 민주당의 입법 폭주에 맞서 상임위 보이콧에 나서자 상당수 국민은 잠시나마 당이 변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보이콧’이 정기국회 개막으로 흐지부지 됐지만, 과거처럼 당 지도부가 나서 메시지만 남발하는 모습은 누구도 귀 기울여 듣지 않는다. 기자들도 뉴스 가치가 없어 보도를 꺼린다. 국민의힘이 앞으로 ‘정청래의 민주당’과 싸워 민심을 얻으려면, 사즉생(死則生)의 각오를 할 필요가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국회의원직까지 버릴 수 있어야 한다.
/심충택 정치에디터 겸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