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덕 등 주산지 송이 거래량 크게 늘어···산불 비껴간 봉화는 6배나 증가
올해 경북 북부 지역 송이 생산이 급증했다.
이 지역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송이 산지다. 전국적으로도 올해 송이 작황은 예년 보다 좋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지난 봄 초대형 산불이 경북 북부를 휩쓸었을 때 올 송이 생산 급감할 것이란 예상이 있었으나 최근 생산량을 보면 이 예측은 빗나갔다.
21일 산림조합중앙회 등에 따르면 영덕군은 올해 들어 지난 20일까지 1만3125㎏(공판 물량 기준)의 송이가 거래돼 작년 같은 기간(8901㎏) 보다 크게 증가했다. 공판 거래액은 23억8544만 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19억4818만 원)보다 약 20% 늘었다.
산림조합 공판 기준으로 13년 연속 전국에서 가장 많은 송이가 거래된 영덕은 올해 송이 출하 초기 작황이 부진해 한때 선두를 문경에 내주기도 했지만 뒤늦게 쏟아지면서 1위를 탈환했다.
안동시와 청송군은 영덕 보다 증가폭이 더 컸다.
안동은 올해 들어 지금까지 6785㎏의 송이를 거래해 작년 같은 기간(1271㎏) 보다 5배 넘게 늘었고, 청송은 6092㎏으로 작년 같은 기간(1315㎏) 보다 5배 가까이 증가했다. 청송의 공판 거래액도 12억2661만 원으로 작년 같은기간(3억3583만 원) 보다 3배 이상 뛰었다.
이들 지역 역시 지난 3월 말 유례없이 큰 산불로 막대한 피해를 입었으며, 소나무가 자라는 산이 대규모로 훼손되면서 당시 송이 생산이 급감할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이 나오기도 했었다.
올해 송이 거래량이 예상 밖으로 급증한 것은 산불 이후 송이 생장에 유리한 기상 상황이 지속됐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9월 이후 한달여째 내리고 있는 비는 송이 서식에 가장 중요한 포자 형성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 그 결과 산불 피해를 입지 않은 산에서 나온 송이가 지난해 산불 피해지역에서 나오던 송이 생산량을 상쇄하고도 남을 만큼 많이 생산됐다.
산불이 비껴간 봉화군도 예외가 아니다. 올들어 지금까지 3057㎏의 송이가 거래돼 작년 같은 기간(493㎏) 보다 6배 이상 늘었다.
안동지역 한 임업인은 “올해는 여름 내내 비가 적당히 내려 토양이 촉촉했고, 9월 들어 일교차가 커지면서 송이가 예년보다 훨씬 많이 올라왔다”며 “작년에 비해 산이 한결 건강해진 느낌”이라고 말했다.
/박윤식·이도훈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