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독립운동가 담긴 화폐로 그들의 삶과 정신 배워요

김재욱 기자
등록일 2025-08-17 14:55 게재일 2025-08-18 8면
스크랩버튼
대구 한울안중 광복절 맞아
교내 교육용 화폐 ‘UL’ 제작
학생 활동 연계 매점서 사용
대구 한울안중학교 학생들이 교내 교육용 화폐인 ‘울(UL)’을 통해 경제 활동을 하는 모습. /대구시교육청 제공 

“지갑에서 독립운동가 얼굴을 볼 때마다 자연스럽게 이야기와 질문이 시작돼요.”

광복절을 맞아 교내 교육용 화폐를 제작해 독립운동가의 삶과 정신을 학생들이 일상에서 배우고 경험하는 교육 현장이 마련돼 눈길을 끌고 있다.

그 주인공은 한울안중학교. 

한울안중은 학교 이름의 가운데 글자인 ‘울(UL)’을 따와 화폐를 만들었고, 실물 교환권 형태로 교내 전용 결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특별한 화폐는 2023년 경제금융 동아리 활동을 계기로 시작돼 학생과 학부모 등 의견 수렴을 거쳐 최종 확정됐다. 특히 25년 경력의 화폐 수집가이자 국어 교사인 심규성 교사가 학생들과 디자인을 완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심 교사는 “UL 화폐는 주요 권종별로 한국의 자랑스러운 역사와 인물들을 담고 있어 그 의미를 더한다”며 “최고액권인 500UL에는 안중근, 윤봉길, 김구 선생의 사진과 친필이 앞면에, 3·1운동에 참여한 10대 독립투사들의 초상과 태극기가 뒷면에 새겨져 있다”고 설명했다. 

대구 한울안중학교에서 개발한 교내 교육용 화폐인 ‘울(UL)’의 모습. /대구시교육청 제공

실제 지폐와 같이 500UL외에도 250UL, 100UL, 50UL, 25UL 등 다양한 가치의 화폐를 만들었다. 

심 교사는 “많은 나라가 독립운동가를 자국 화폐에 새겨 역사적 기억을 일상에서 공유한다”며 “우리 학생들도 돈을 통해 역사와 만나고, 사는 법(경제)과 사는 뜻(역사·가치)을 함께 배우기를 바래 제작했다”고 취지를 밝혔다.

학생들은 학생 자치 활동과 연계해 ‘월급’ 또는 ‘아르바이트 수당’ 형태로 이 화폐를 지급 받는다. 이를 통해 교내 매점에서 와플, 음료, 문구류 등을 구매해 경제 활동을 직접 체험한다. 

또한, 학생들은 예산 기획, 세금 처리 같은 실무를 익히고, 합리적인 소비, 저축, 그리고 기부까지 경험하며 경제 공동체 운영을 통해 실질적인 금융 역량을 키워나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울안중 변흔갑 교장은 “앞으로도 교과 수업과 학생 자치를 잇는 융합형 프로젝트를 지속해 추진해 역사적 가치와 금융 역량을 동시에 함양하는 교육을 확장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울안중은 대구교육청 경제금융중점학교에 2년 연속 선정돼 학생자치회 6개 부서와 연계한 다양한 경제금융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부서별로 예산을 편성하고 집행하며, 월급과 세금 정산 절차를 경험하는 프로젝트를 통해 지역 경제 및 문화와도 연계하는 교육을 펼치고 있다.

/김재욱기자 kimjw@kbmaeil.com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