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이어진 호우로 포항지역 주요 도로 곳곳에 포트홀(도로 파임)이 생기며 차량 파손과 운전자 불안이 커지고 있다.
포트홀은 주로 빗물에 아스팔트 하부가 약해지고 차량의 반복된 하중이 더해지면서 노면이 침하돼 생긴다. 특히 여름철 장맛비가 내린 직후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20일 포항시 남구의 한 왕복 4차선 도로. 도로 위 움푹 패인 포트홀을 발견한 차량들이 급히 차선을 변경했다. 갑작스러운 움직임에 옆 차선 차량과 가까워지며 부딪힐 뻔한 아찔한 장면도 목격됐다.
포트홀을 미처 보지 못한 화물차는 ‘덜컹’ 소리를 내며 그대로 지나갔다. 차량이 튀어 오르듯 흔들렸고 뒤따르던 운전자는 놀란 듯 속도를 줄였다.
인근에 거주하는 김성훈씨(39)는 “이 도로는 비만 오면 어딘가가 꼭 움푹 패여 있다”며 “매일 출퇴근하면서 지나다니지만 언제 타이어가 빠져 손상될지 몰라 조마조마하다”고 말했다.
포항시 북구의 도로 상황도 다르지 않았다. 얕게 고인 빗물 아래 숨어 있던 포트홀에 차량 타이어가 빠지며 ‘쿵’ 소리를 냈고 차체가 크게 흔들렸다. 뒤따르던 차량은 놀라 급히 브레이크를 밟았다.
장마철마다 반복되는 포트홀은 운전자들에게 ‘도로 위의 지뢰’와 다름없다. 그대로 밟고 지나치면 타이어나 휠이 손상되기 일쑤고 자칫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다.
실제로 피해를 호소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포항시 북구 한 정비업체 관계자는 “최근 들어 차량 하체 수리 문의가 부쩍 늘었다”며 “포트홀을 지나가다 타이어가 찢어져 멀쩡한 타이어를 교체하는 경우도 있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기존 아스팔트는 배수가 잘 되지 않거나 강우에 약한 재료일 경우 쉽게 침하되기 때문에 반복적인 덧씌우기만으로는 해결이 어렵다”며 “지역별 기후 특성과 교통량을 고려해 아스팔트 배합을 다르게 하거나 고강도 내구성 자재를 사용하는 등의 기술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도로가 손상되는 가장 큰 요인은 물과 하중”이라며 “표면만 덧대는 응급 보수보다는 침투수 배제 구조와 도로층의 전반적인 설계를 다시 보는 중장기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포항시 남·북구청 관계자는 “포트홀 예방을 위해 평소 도로 순찰을 강화하고 있으며, 신고가 접수되면 즉시 현장에 출동해 긴급 보수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남구는 산업단지가 있어 대형 중장비 차량의 통행이 잦아 도로 손상이 빠르게 진행된다”며 “특히 강우나 폭염 이후에는 아스팔트가 약해지는 시기이기 때문에 포트홀이 자주 발생하는 만큼 정기적인 순찰을 통해 조기 대응에 나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단정민기자 sweetjmini@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