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대구지역에서 공동주택의 분양이 이루어지며 경산 지역의 공동주택 분양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낮은 실현 가능성으로 주택회사들의 부담이 되고 있다.
경산은 지속적인 인구 유입과 택지개발의 영향으로 공동주택의 분양이 줄을 이어 아파트로 숲을 이루었지만, 2021년 12월의 중산지구 A 아파트의 분양이 가장 최근의 공동주택 분양일만큼 분양의 열기가 식었다.
이러한 연유에는 장기간 계속된 경기 침체와 자재 가격의 폭등 등 눈에 보이는 요인과 대구시 인구 감소 등 외부 인구의 유입 감소와 실수요자들이 지역에서 새로운 아파트로 이동하는 수요자의 제자리 걸음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그렇다고 지역의 공동주택 분양의 열기가 완전히 식은 것은 아니지만, 정부의 대책이 없다면 기대하기 어렵다는 분위기다.
경산 지역의 공동주택 미분양률은 제로에 가깝고 현재 사업 승인을 받아 분양을 준비하는 공동주택은 상방공원 1004세대와 중산동 3443세대, 대평동 1293세대, 삼북동 921세대, 주택조합 410세대 등 7천 세대가 넘는다.
이들 사업을 추진하는 주택회사들은 살아나지 않는 경제와 여러 가지 규제, 서울 중심의 정책을 지방에 적용하는 불합리성, 대구지역 할인 분양 등의 영향으로 가장 실현성이 높은 상방공원의 1004세대도 활실한 분양 일정을 잡지 못하고 등 눈치 작전에, 늘어나는 금융 부담의 2중고로 선뜻 분양에 나서지 못하는 것이다.
분양률에 의해 발생시킬 수 있는 PF자금에 대한 불확실성이 분양을 주저하게 만드는 또 다른 요인이 되고 있다.
공동주택 분양 관계자들은 “지방의 공동주택 분양을 살리기 위해서는 정부의 경기 활성화 대책과 수도권 중심의 정책을 지방에 맞게 적용하는 방안을 마련하지 않고는 기대하기 힘들다”며 “지방의 경기를 살리는 대책을 정부가 마련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공동주택의 분양은 자치단체의 세수와 연관성이 많은 만큼 중앙정부의 줄어들고 있는 지원과 세외수입 감소의 대안이 될 공동주택 분양을 살릴 수 있는 중앙정부의 관심이 요구된다.
/심한식기자 shs1127@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