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무등산에는 등이 있다(부분)

이성혁 문학평론가
등록일 2025-05-07 18:48 게재일 2025-05-08 18면
스크랩버튼
이승예

주먹밥을 만들어서 버스 안으로 던졌어요

낯선 총소리가 자주 지나가고 교문은 굳게 닫혔어요

수업일 수를 채우지 못해서 우린 피던 꽃이라도 되기로 한 것처럼

 

오월의 무등산은 등 없는 숲이 되고

비폭력을 외치던 우리들의 구호가 총을 가져왔나요?

등이 보이면 날아와 박히던 총알이 무등을 탄 주검이 되었어요

 

(중략)

 

여고 1학년 2학기가 되어도 끝나지 않은 1학기 책을 들고 교문을 들어서니

구령대 앞에는 꽃들이 쌓였어요

학동 삼거리에서 타자학원 쪽으로 가는 길에 선

헌혈 차에서 헌혈을 하고 오다가 총 맞아 죽은 3학년 선배를

애도하는 꽃무덤

 

올해도 오월이 왔다. 매년 오월엔 1980년 오월을 마주하게 된다. 특히 올해 오월은 각별하다. 80년 오월의 학살이 재현될 뻔한 시간을 방금 지나왔기 때문. 무등산 아래 벌어졌던 그해 5월의 학살. 그때 여고 1학년이었던 화자는 “헌혈을 하고 오다가 총 맞아 죽은” 2년 선배를 기억한다. ‘비폭력을 외치던’ 시민들이 총 맞아 죽었던 그해 오월에 대한 시는 계속 써져야 한다는 것을 새삼 마음에 새기게 하는 시. <문학평론가> 

 

이성혁의 열린 시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