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구 지역 제조기업 디지털 전환 4곳 중 1곳만 “업종상 전환 어려워”

김재욱 기자
등록일 2025-04-16 15:46 게재일 2025-04-17 6면
스크랩버튼
지역 제조기업 디지털 전환(DX) 실태 및 애로사항 조사
지역 중소기업 다품종 소량 생산 많아 디지털 전환에 구조적 한계
디지털 전환 가능성에 대한 기업별 분석 선행돼야
지역 제조기업 디지털 전환 추진 여부. /대구상공회의소 제공

대구 지역 제조기업의 디지털 전환 추진이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대구상공회의소가 기업 생산성과 업무 효율성 제고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DX)에 대한 지역 제조기업 실태와 애로사항 등을 조사한 결과, 지역 제조기업 4곳 중 1곳만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 규모별로는 매출액이 클수록 디지털 전환 비중이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매출액 1000억원 이상 기업의 경우 응답기업의 70%가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고 있는 반면, 1000억원 미만 기업은 18.8%만이 추진하고 있어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 대응이 저조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역 기업이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지 않는 이유. /대구상공회의소 제공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지 않는 이유(복수응답)로는 ‘업종 특성상 디지털 전환이 어렵다’라는 응답이 56.7%로 가장 많았다.  ‘비용 부담이 너무 크다’(41.8%), ‘전문 인력 부족’(26.9%), ‘디지털 전환 후 효과가 불확실하다’(23.1%)는 응답은 뒤를 이었다.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고 있는 기업의 디지털 전환 수준은 ‘도입 단계’가 62.8%로 가장 많았고, ‘초기 단계’는 27.9%, ‘확산 단계’는 9.3%로 나타났다. 아직 ‘고도화 단계’에 이른 기업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디지털 전환 분야(복수응답)는 제조ㆍ생산이 83.7%로 가장 가장 많았고, 이어서 재무ㆍ회계(44.2%), 물류ㆍ유통(14.0%) 순으로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디지털 전환 목적(복수응답)으로 대부분(95.3%)의 기업이 ‘업무 효율성 향상’을 꼽았고, 이어서 ‘생산성 증가’(58.1%), ‘비용 절감’(14.0%) 순으로 응답했다. 

 

디지털 전환 추진 시 애로사항(복수응답)으로는 ‘높은 초기 투자 비용’이 72.1%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 문제’(48.8%), ‘기술적 역량 부족’(44.2%) 등의 순을 보였다. 

 

정부의 지원 필요사항(복수응답)으로는 ‘디지털 전환을 위한 지원금 및 보조금’이 83.3%로 가장 많았다.  

 

포장기계 제조기업 A사는 “업종 특성상 디지털 전환이 쉽지 않다. 모델 종류가 너무 많고 자주 바뀌어서 라인 구축이 어렵다”며 “현재 사람이 일일이 조립하고 있는데, 청년 인력 채용이 어려워 고령 노동자를 정년 후에도 계속 고용하고 있다. 당장은 디지털 전환보다 안정적인 인력 공급이 더욱 시급하다”고 현실적인 어려움을 토로했다. 

 

대구상의 이상길 상근부회장은 “디지털 전환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디지털 전환 가능성에 대한 기업별 분석이 선행돼야 한다”면서 “이를 토대로 개별 기업에 맞는 맞춤형 지원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재욱기자 kimjw@kbmaeil.com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