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지금 잘못된 상처 치료를 하고 있다<br/>다친 부위 촉촉히 유지해야 재생속도 2배<br/>물집 생기면 내부 물 빼주고 껍질은 유지<br/>껍질이 생물학적 드레싱 효과 ‘피부 보호’<br/>깊은 상처 이외 소독약 소독 중요성 떨어져<br/>과산화수소수, 효소 불활성화해 세포손상<br/>흙·각종 파편 등 이물질 제거가 훨씬 중요
◇딱지가 생기면 좋은 건가요?
딱지(scab·crust)는 상처에서 나온 혈액이나 고름이 공기 중 노출돼 상피와 굳은 것입니다. 상처가 치유되기 위해, 필요한 새로운 조직이 재생되는 것을 막는 장벽 역할을 하므로 딱지가 있으면 상처가 낫는데 시간이 더 걸리고 결과적으로 흉터 가능성도 커집니다.
딱지가 생기지 않도록 상처를 촉촉하게 유지했을 때 재생(상피화)이 2배나 빠른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누구나 싫어하는 흉터는, 상처가 생기고 나서 다 나을 때까지 걸리는 시간에 따라 결정됩니다. 일주일 내에 상처가 다 나으면 흉터는 거의 안 생깁니다. 1주가 지났는데 아직 상처로 남은 곳은 흉터가 남게 되고, 이후 시간이 오래 걸릴수록 흉터가 심해집니다.
그래서 얼굴이 찢어져 봉합하면 실밥 자국이 남지 않도록 보통 5~7일 내 뽑습니다. 얼굴 외 다른 부위는 힘을 많이 받으므로 실밥 자국보다 상처가 벌어질 가능성이 높아 10일~2주경 제거합니다.
상처가 3주가 지나서 나으면 비후성 반흔으로 남을 가능성이 80%가량으로 높아집니다.
물론 성형외과에서 전층피부이식술 등의 수술로 개선 시킬 수 있지만, 원래의 피부보다 당연히 못 하므로 상처 치유에 걸리는 시간을 최소로 해야 합니다.
결국 딱지가 생기면 장점보다는 단점이 훨씬 많습니다. 딱지는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물집은 터트려야 하나요?
물집은 화상, 찰과상 등 피부 손상으로 세포 사이나 세포 안에 단백질 성분을 가지는 체액이 고여 발생합니다.
물집이 생기면 내부 물은 빼주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껍질은 처음부터 벗겨내지 않는 게 좋습니다. 그 자체가 아주 좋은 생물학적 드레싱(biological dressing) 역할을 해줘서 피부를 보호하며 통증도 줄여주기 때문이지요.
처음부터 벗겨내고 치료하는 분도 있는데, 폼드레싱으로 잘 덮어주면 치유 기간에 큰 차이는 없습니다. 이 껍질은 3~4일 후 저절로 떨어집니다.
◇상처를 알코올이나 과산화수소수로 자주 소독하면 좋을까요?
상처가 나면 깨끗하게 소독을 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상처에 과산화수소수나 알코올, 베타딘 등을 바르고 병원에 오시는 분이 많습니다. 이런 소독제가 딱지나 괴사 조직을 제거하고 상처를 깨끗하게 해주기도 하지만 나름의 문제점도 있습니다.
과산화수소수는 일종의 자유라디칼(free radical)로 상처에 있는 지방의 과잉 산화를 촉진하고, 여러 효소를 불활성화해서 세포에 손상을 줍니다. 세균도 죽이지만 사람 세포도 파괴합니다.
소독용 알코올은 피부를 자극해 발진을 유발하고, 역시 상처에 바르면 상피 세포를 손상시킵니다.
상처가 세균 감염으로 상태가 악화되고 패혈증에 걸릴 것을 우려해서 소독제를 사용할 텐데, 상처로 뼈가 노출될 정도로 깊은 경우가 아닌 대부분 상처는 그럴 가능성이 적습니다.
원래 사람 피부에 상주하는 약 1조 개의 세균이 각 부위에서 우리 몸을 보호하고 면역체계를 강화하는 역할을 해주며, 상처가 생겨 피부의 방어벽이 붕괴되더라도 혈액에는 각종 백혈구가 존재해서 침입한 세균이나 이물질을 제거합니다. 그래서 제가 보기에 여러 소독약을 이용한 화학적 소독은 중요성이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오히려, 상처에 박힌 흙, 아스팔트, 각종 파편 등의 이물질을 확실히 제거하는 물리적 소독이 훨씬 중요한 것 같습니다.
소독약은 쓰더라도 상처 초기에 이물질을 확실히 제거하고 난 후에 한시적, 제한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시 지난 호(24년 12월 9일)에 나왔던 상처 씻기의 중요성이 느껴집니다.
이상으로 두 차례에 걸쳐 각종 상처를 가지고 저희 세명기독병원 성형재건센터 외래에 내원하시는 분들에게 자주 설명하는 네 가지 질문들에 대한 답을 드렸습니다. 무심결에 예전에 하던 방식대로 상처 치료를 하면 앞의 사진보다도 훨씬 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상처 치료의 단계에서 적절한 개입이 이뤄지지 않은 결과입니다.
상처가 나는 걸 막을 수는 없지만,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개입으로 흉터나 합병증이 없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길을 택하시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