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 나리분지는 설국이었다. 겨울이 되면 많은 눈이 쌓였을 거라고 짐작은 하지만 사진을 통해 공개된 적설량은 예상을 훨씬 웃돌았다.
울릉도에는 지난 18일 하루 적설량 36.5cm를 기록했지만 예년에 비해 올해 특별히 많이 내린 편이 아니지만 나리분지 쌓인 눈을 보면 평년에 쌓이는 눈의 량을 짐작할 수 있다. 이날 도심지 최심적설량(계속 쌓여있는 눈)은 37.5cm로 울릉도 사방을 눈 천지로 만들었다.
울릉 눈은 겨울철은 동해에서 불어오는 차가운 바람 등의 영향으로 잘 녹지 않는 것이 특성이다. 통상적으로 울릉도 겨울철 최심적설량이 평균 50~60cm되는 것도 그 때문이다.
그렇다면 나리분지는?
당연 읍 시가지 일원 지역보다는 훨씬 많이 쌓인다. 나리분지는 분지로 주변이 성인봉(해발987cm) 미륵산(해발 900m)등 높은 산으로 둘러싸여 있는 여건 상 바람도 잘 불지 않고 주로 음지 지형이 많은 탓에 뱥도 잘 안들어 겨우내내 녹기보다 계속 쌓이기만 한다.
실제 깊은 산 계곡에는 3~5m 이상 쌓여 있다.
이 눈들은 온도가 올라가기 시작하면 서서히 녹기 시작, 5월까지 이어진다. 그런데 녹아내린 이 물이 보석이고 보배다. 기온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매일 일정량씩 녹아 나리분지 땅 속으로 들어간 후 집수정을 거쳐 울릉도 전역에 풍부한 식수를 공급하게 되는 것.
울릉지역에는 나리분지에 눈이 많이 쌓이면 풍년이 된다는 말이 있다. 그만큼 마음의 안식을 주고 주민들이 생활하는데 귀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 어느때보다 눈이 많이 온 올해는 나리분지 전체가 겨울 내내 눈에 뒤덮였다. 3월말 현재까지도 곳곳에 쌓여 있는 눈이 1미터를 넘고 있다. 울릉군 북면사무소 제설공무원들은 눈 치우는 것은 힘드지만 웬지 울릉도에 좋은 일이 있을 것 같은 것 느낌이라고 말했다.
고무적인 일은 눈이 이제 겨울 울릉관광의 촉매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 몇년 사이 매년 많은 눈이 내리자 울릉도 눈을 보기위한 관광객들의 발걸음도 부쩍 닐었다. 특히 울릉도 중에서도 '눈의 대명사' 나리분지는 겨울철 힐링 장소로 각광받아 눈축제, 눈캠프, 텐트 촌이 조성되고 있다.
울릉군도 이제 눈을 보기 위해서 일본 북해도 등에 가지 않아도 된다는 부분을 강조하고 있다. 군은 향후 눈을 테마로 한 세계적 프로그램으 내놓을 계획이다. 특히 울릉도 나리마을은 유엔관광청(UN Tourism)에서 주관하는 제5회 최우수 관광마을 공모사업에 한국대표 후보로 최종 선정되어 있다. 동력은 마련된 만큼 세부적인 그림만 잘 그린다면 가능성은 충분하다는 것이다.
/김두한기자 kimd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