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 분석 발표 3.1%↑<br/>유동인구 증가… 요식업 중심<br/>“규제보다 협력방안 모색돼야”
대구 대형마트의 의무휴업일을 주말에서 평일로 전환하자 주변 상권의 매출이 3.1% 증가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형마트 주말영업이 유동인구 증가를 유발하고, 이는 주변상권 활성화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산업연구원은 13일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평일 전환이 상권에 미친 영향을 분석해 ‘대형마트 영업 규제의 변화와 경제적 효과’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원은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2022∼2023년 신용카드 데이터를 활용했다. 이 기간 대구시와 청주시에서는 의무휴업일이 주말에서 평일로 바뀌었다.
연구 결과 대형마트의 영업이 주말에 가능해지면서 요식업을 중심으로 주변 상권의 매출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마트 주변 요식업은 약 3.1%, 일부 유통업(편의점 5.6%, 기타 유통 6.7%)의 매출이 늘었다.
전통적으로 대형마트와 경쟁 관계에 있는 소규모 유통업체의 매출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이 같은 결과에 대해 연구원은 “주말 대형마트의 영업이 유동인구 증가를 유발해 요식업을 중심으로 주변 상권의 매출이 증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대형마트의 영업규제 완화의 효과가 소규모 유통점에는 제한적이며, 요식업 등에는 긍정적 매출 진작효과가 발생했다”고 덧붙였다.
연구원은 대형마트와 지역상권의 활성화를 위해 규제보다는 공존에 초점을 맞춘 정책적 접근 필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대형마트 규제 완화에 대한 논의는 여전히 진행 중이며, 각 지자체별로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다. 연구원 관계자는 “온라인 중심으로 변화하는 유통환경에서 오프라인 유통점에 대한 규제보다는 대형유통과 지역이 조화를 이루는 정책이 추진돼야 할 것”이라며 “대형마트가 지역 중소 유통업체와의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 정부 차원의 정책적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장은희기자 jange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