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기업은 설 연휴 다음 31일까지 휴가로 연휴 최대 9일…중소기업은?

이부용 기자
등록일 2025-01-19 07:55 게재일 2025-01-19
스크랩버튼

오는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되면서 설 연휴가 엿새로 늘어난 가운데 일부 대기업은 '샌드위치 휴일'인 오는 31일도 지정 휴무 또는 권장 휴무일로 정하고 있다. 

이 경우 최대 9일간의 휴가를 보낼 수 있다. 

임시공휴일이 31일이  아니라 27일로 지정될 때부터 있어왔던 예상이 현실화 되고 있는 것이다. 

실제 정부가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자 일부 지자체자들은 현장을감안치 않은 비현실적 날짜 선택이라는 지적을 하기도 했다. 

업계 역시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 트렌드가 확산한 가운데 직원들이 눈치 보지 않고 충분히 가족과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라고 밝히고는 있으나 내부적으로는 사실상 다음 주 연휴 후 하루 근무하는, 그것도 금요일이라는 점에서 업무 성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판단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형식적 출근보다는 차라리 하루 더 휴가를 주는 것이 직원들의 사기를 북돋아 주는 등 효과적이고 효율적이라는 것이다.

산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27일 임시공휴일, 28∼30일 설 연휴에 이어 31일까지 쉰다. 현대모비스와 현대글로비스, 현대위아, 현대제철 등 현대차그룹 계열사들도 31일까지 휴무한다. 노사 단체협상에 따른 결정이다. 

LG전자와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LG화학, LG에너지솔루션, LG생활건강 등 LG그룹의 상당수 계열사도 오는 31일을 전사 차원의 휴무일로 지정해 운영키로 했다. 

GS그룹 지주사인 ㈜GS는 취업규칙상 명절 연휴 다음날인 31일이 휴일로 자동 지정됐고 현대엘리베이터는 노사 합의로 휴무를 결정했다. 두산그룹 주력 계열사인 두산에너빌리티와 두산밥캣도 31일을 휴무일로 지정했다. 

효성은 오는 31일을 전사가 연차를 쓰는 지정 휴무일로 정해 뒀다. 지정휴무일은 직원들이 매년 일정 일수 이상의 연차 휴가를 사용해 재충전의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권장하는 취지에서 운영하는 제도다. 

SK하이닉스도 노사 협의에 따라 설과 추석 연휴 다음날(명절 당일의 다다음날)이 평일인 경우에는 지정휴무일로 운영토록 했다. 

앞서 에쓰오일(S-OIL)은 이미 지난해 말에 올해 업무 캘린더를 공지하면서 오는 31일 전 사원이 연차를 소진하는 방식으로 9일 연속 쉬도록 정하기도 했었다. 

포스코는 공식적으로 '1월 31일 휴무' 방침을 공지하지는 않았지만, 상당수 직원이 이날 휴무에 들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

포스코는 작년 1월 '격주 주4일제 선택근로제'를 도입해 현재도 직원 절반가량이 매주 금요일이면 쉬고 있다. 따라서 31일 휴무 대상자는 연차 휴가가 자연스레 이어진다. 

다른 대기업들도 자율적으로 휴가를 쓰도록 장려하고 있다.

현대건설, GS건설, DL이앤씨, SK에코플랜트, 롯데건설 등 건설사들도 대부분 공동 연차 등을 사용해 31일까지 업무를 쉰다. 특히 일부 건설사는 이 기간 건설 현장 가동도 중단한다. 건설현장 31일 휴무는 중소건설업체에게도 영향을 미쳐 거의 대부분 시행될 것이라는 것이 관련 업계의 시각이다. 

대기업들이 31일을 휴가로 연장함에 따라 포항철강공단 내 상당수 기업들도 이번 주 31일 휴가 대열에 속속 동참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일부 업체는 이를 사실화, 직원들에게 통보했으며 노사협의를 지속하고 있다.

/ 이부용 기자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