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새해설계 / 경산시
시민 행복을 위해 전력을 기울이는 경산시의 2025년도 시정의 키워드는 희망(Hope)과 조화(Harmony), 행복(Happiness), 건강(Health), 사람(Human) 등 ‘5H’다.
2025년 사자성어를 승풍파랑(乘風破浪, 바람을 타고 파도를 헤쳐나간다)으로 정한 조현일 시장의 경산 발전이라는 큰 목표를 향해 흔들림 없는 시정추진의 의지에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2024년 경산시는 여러 가지 도전과 위기를 마주했지만 두렵고 힘들다고 주저하지 않고 위기 속에서 많은 성취를 이루어냈다.
대형프리미엄 쇼핑몰 유치와 행정절차를 마무리해 공모 절차에 들어가고 국책사업 공모 선정으로 지역의 혁신성장과 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이바지했다.
또 청년들을 위한 공간마련 등과 대구권 광역철도인 대경선의 개통,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하양 연장 개통, 야간과 휴일에도 운영하는 ‘우리 아이 보듬병원’과 ‘K보듬 6000’1호점 개소 등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로 거듭나기 위한 노력을 지속했다.
이러한 노력으로 경상북도 유일의 가족정책 유공 국무총리상 수상 등 수 많은 시정의 전 분야에서 저력을 과시하기도 했다.
경산 발전이라는 큰 목표만을 향해 난관을 극복하며, 내일이 더욱 설레는 경산을 위한 흔들림 없는 시정을 추진해 나가겠다는 조현일 경산시장의 5H를 풀어본다.
‘42경산’ 프로그램 및 산학연 협력 ICT인재 육성
‘경산펀드’ 확대해 유망스타트업 안정적 운영 지원
상림 특화단지·5일반산단 조성 사업 조속히 추진
대규모 일자리 창출·지역경제 미래성장 동력 마련
버스정류장 현대화·수도권 수준 도시철도 인프라
조산천 등 힐링 명소화 인구 30만 명품 자족도시로
보훈대상자 예우·지원 강화 유공자 더 존경받도록
‘우리 아이 보듬병원’ 소아·산부인과 추가 협동진료
관광정책 컨트롤타워인 ‘경산문화관광재단’ 출범
연간 800만 명 방문객 즐기고 머물러 갈 발판 다져
임당유적전시관 주·야간 콘텐츠 접목 ‘경산 명소’로
뉴미디어 양방향 소통…시민 의견 실시간 피드백
□ 첨단산업생태계 조성
미래 성장동력을 위한 새로운 비전 제시로 수도권으로 빠져나가는 청년층을 잡고 지역에 머무르게 하려고 ‘42경산’인재 육성프로그램 외에도 산학연 협력 생태계 조성사업으로 더 많은 ICT 인재를 육성하고, 이들이 취·창업한 경쟁력 있는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해 자금 걱정 없이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경산펀드’를 확대해 나간다.
대규모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미래 성장동력이 반영된 상림 재활산업특화단지 및 경산5일반산업단지 신규 조성사업이 조속히 추진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글로컬 대학 및 교육 발전 특구 사업으로 지역과 대학이 상생 발전할 수 있는 미래를 향한 새로운 비전을 만들어 나간다.
또 해외 마케팅 지원 등으로 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는 물론 수출노선 다변화로 희망을 노래하게 한다.
□ 인구 30만 명품 자족도시 건설
전 지역이 고르게 성장하고 수도권 수준의 도시철도 인프라를 구축해 시민의 삶의 질을 조화롭게 한다.
노후화된 자인 버스정류장 현대화사업으로 편리한 환경을 조성해 활력을 불어넣고 농촌중심지 활성화 사업, 기초생활거점 조성사업 등으로 경산 어디든 소외되지 않고 전 지역이 고르게 성장하는 균형발전 도시를 만든다.
경산의 자랑인 명품 생태하천 ‘남천’처럼 조산천과 오목천도 힐링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하고 경산 IC 톨게이트 진입로 확장공사와 1월 착공하는 진량 하이패스 IC 설치로 교통편의와 물류비용 절감을 통한 기업경쟁력 강화에 힘쓴다.
압량 ~ 진량 간 지방도 919호선 확장사업과 백천사거리 혼잡도로 개선사업으로 출·퇴근 차량정체를 해결하고 도시철도 1호선 하양 연장과 대경선 개통에 이어 1, 2호선 순환선과 2호선 및 대경선과의 연계선도 끈을 놓지 않고 추진해 인구 30만 명의 명품 자족도시로 발전해 나간다.
□ 세심한 나눔과 배려로 행복한 도시
틈새 없는 복지안전망 구축과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육아 친화 도시 조성으로 지켜주는 행복 복지 실현을 위해 노력한다.
보훈대상자에 대한 예우와 지원을 강화해 권익 신장은 물론, 유공자가 더욱 존경받는 사회 분위기를 조성하며 기후변화에 상대적으로 더 취약한 어르신들의 건강을 위해 여가부터 운동시설까지 더 꼼꼼히 챙겨나가고 경산형 달빛병원인 ‘우리 아이 보듬병원’에 소아과 1개소와 산부인과 2개소 등 추가 협동진료를 통한 안정적 진료 네트워크도 구축한다.
산업단지 내 신제지 경관개선을 통해 산업단지 복합문화센터와 함께 근로자와 시민이 쾌적하게 즐길 쉼터를 만들고 전통시장과 소상공인의 어려움 극복에도 노력을 아끼지 않는다.
□ 문화·관광·체육이 일상화된 건강(Health) 도시
인근 대구에 문화가 귀속되지 않도록 시민들의 건전한 여가선용 공간을 확대해 문화와 관광, 체육이 일상화되는 건강 도시 경산을 만든다.
이를 위해 문화 관광정책의 컨트롤타워가 될 경산문화관광재단의 출범으로 시민들이 더 나은 문화 혜택을 받고 관광자원 발전으로 연간 800만 명의 방문객들이 지역에서 즐기고 머물 발판을 마련한다.
압독국 사람들의 생생한 생활상을 볼 수 있는 임당유적전시관에 주야간 볼거리가 있는 콘텐츠를 접목해 경산의 명소로 만들고 도서관, 생활문화센터 등 복합문화공간으로 구성된 중산지구 도서관을 하반기 중 개관해 주민들의 건전한 여가선용 공간으로 활용한다.
남산면 에코토피아 파크 골프장과 용성면 게이트볼장 조성 등으로 시민들의 건강한 여가를 책임지고 경상북도 기념물인 용산산성 종합 정비계획을 수립해 지역 문화명소로 재탄생시키고 남산면 연하리에 힐링 숲과 야영장 등 가족 중심의 산림휴양 공간을 확충해 시민의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한다.
□ 사람(Human) 중심의 열린 행정
시민을 최우선으로 하는 원칙과 신념으로 민생현장에서 직접 보고 귀 기울이며 소통하는 시정, 사람 중심의 열린 시정을 구현한다.
뉴미디어 양방향 소통 채널 운영으로 실시간 시민들의 의견을 피드백해 시정의 만족도를 높여 가는 등 시·군 통합 30주년을 맞아 시민과 함께 더 나은 미래 100년을 위한 새로운 도약의 발판을 닦아 나간다.
조현일 경산시장은 “2024년은 여러 가지 위기와 도전에 직면한 어렵고 힘든 시간이었으나 28만 시민이 지혜를 모으고 한뜻으로 움직여 슬기롭게 어려움을 헤쳐 나와 지역의 숙원사업을 해결하는 등 지역경제에 희망을 준 해가 되었다”며 “2025년도 뱀이 묵은 허물을 벗고 한 단계 더 성숙하듯이 경산발전이라는 큰 목표만을 향해 흔들림 없는 시정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또 “2025년 시정의 키워드인 5H의 실현으로 경산시민이 행복하고 자긍심을 갖도록 최선의 노력을 하겠다”고 다짐했다. /심한식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