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KB·우리·하나 금융지주 회장들 ‘내부통제’, ‘혁신’ 방점 

박형남 기자
등록일 2025-01-02 14:29 게재일 2025-01-02
스크랩버튼
(사진 왼쪽부터) 양종희 KB금융 회장,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 사진= 각 사 제공
(사진 왼쪽부터) 양종희 KB금융 회장,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 사진= 각 사 제공

주요 금융지주 회장들이 2025년 을사년을 맞아 내놓은 신년사의 공통점이 있다. 바로 ‘내부통제 강화’, ‘혁신’이다. 지난해 금융지주들이 연이은 내부통제 문제로 골머리를 앓았다는 점에서 내부통제 강화와 혁신을 통한 차별화를 꾀하겠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금융지주 회장들은 올해 한국 경제 전망이 밝지 않다고 전망했다. 양종희 KB금융 회장은 2일 오전 KB금융 본점 신관에서 열린 시무식에서 “올해는 그 어느 때보다 예측하기 어려운 혼돈과 격변이 예상되는 한 해”라면서 “고객과 시장의 불안감을 상쇄시킬 수 있는 ‘견고한 신뢰와 안정감’을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도 “지속적인 경기침체와 대내외 환경의 불확실성 증대, 그리고 인구 고령화와 저출생 같은 사회 구조적 문제가 맞물려, 우리 앞에 놓인 상황은 점점 더 심각해지고 있다”며 “지금과 같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전략이나 단기적 해결책 보다는 기본적이고 본질적인 요소에 충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본연의 업에 대한 경쟁력을 확보하고 강화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임직원들에 당부했다.

특히 지난해 금융사고가 끊이지 않으면서 금융지주 회장들은 내부통제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은 지난해 우리은행 일부 지점이 손태승 전 우리금융 회장 친인척에게 600억원대 부당대출을 해 준 사건에 대해 “고객과 주주, 임직원에게 회장으로서 정말 안타깝고 송구스럽게 생각한다. 그룹의 내부통제 체계 전반을 근원적으로 혁신하고 윤리적 기업문화를 확립할 것”이라고 말했다. 

끝으로 금융지주 회장들은 임직원들에게 혁신을 당부하기도 했다. 혁신을 이뤄야 다른 금융그룹보다 우수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는 것이다. 양 회장은 “이번 조직개편에서 은행 전략본부에 대면채널 혁신 임무를 부여했다”며 “기존의 ‘공간’의 개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방식으로 고객을 만나는 채널을 준비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함 회장도 “미래금융과 기술혁신에 대한 경쟁력 강화 또한 간과해서는 안 된다”며 “우리 스스로 역량을 키우는 동시에 신기술 및 혁신 기업에 대한 투자와 제휴를 지속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임 회장 역시 “금융시장 트렌드는 분초 단위로 빠르게 변화하고 그 방향조차 가늠하기 어려운 시대”라며 “새로운 금융 영역으로의 도전을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