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대 인사 기준’ 발표·‘국민검증단’ 출범 등 인사청문 화력 집중 강선우·이진숙·권오을·조현·정동영 ‘무자격 오적’ 규정 공세
6·3 대선 패배 후 무기력함에 시달리는 국민의힘이 지지율 반등을 위해 이재명 정부 초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 총력을 다하는 모습이다. 국민의힘은 오는 18일까지 이어지는 청문회 주간에 대비해 세금 탈루, 부동산 투기 등 이른바 ‘7대 인사 기준’을 발표하는 한편 ‘국민검증단’을 출범시키며 정부·여당을 향한 전방위 공세를 펼치고 있다. 국민의힘은 당분간 당 역량을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 과정에 쏟아붓겠다는 입장이다
국민의힘은 강선우 여성가족부·이진숙 교육부·권오을 국가보훈부·조현 외교부·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를 ‘무자격 오적’으로 규정하고 이들의 자진사퇴 또는 지명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곽규택 수석대변인은 15일 “거대 의석만 믿고 무자격 후보자에 대한 ‘묻지마 방탄’을 지속한다면 국민의 엄중한 회초리를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하는 메시지를 냈다.
국민의힘은 특히 강 후보자에게 공세를 집중하는 모습이다. 강 후보자의 ‘보좌진 갑질 의혹’이 다른 불법·비리 행위보다 국민적 반감을 더 자극한다는 판단에서다.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강 후보자에게 제기된 갑질 의혹과 거짓 해명 논란을 언급하면서 “이쯤 되면 본인이 알아서 거취를 판단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며 자진사퇴를 촉구했다.
국민의힘은 오늘(16일) 청문회가 예정된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도 낙마 대상으로 삼아 ‘송곳 검증’을 벼르고 있다. 국회 교육위원회 야당 간사인 조정훈 의원은 원내대책회의에서 “이 후보는 제자가 쓴 논문의 실질 저자가 본인이라고 주장했다. 사실이라면 제자의 논문이 취소돼 더 이상 교수직을 할 수 없게 된다”며 “자기 하나 살겠다고 제자의 앞길을 가로막는 사람이 교육부 수장이 될 수 있는지 의문”이라고 비판했다.
집권 초 장관 인사 실패가 대통령·여당의 지지율을 떨어뜨리고 야당 지지율을 끌어올린 사례는 이전에도 있었다. 윤석열 정부를 예로들면, 취임 후 석 달간 장관급 후보자 5명이 연이어 낙마했다. 윤 당시 대통령의 직무 수행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이유 중 가장 큰 비중이 ‘인사’였다. /박형남 기자 7122love@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