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14개 시군, 대구 2개 구군 반대 의견 매우 우세<br/>안동시 ㈜코리아정보리서치에 조사 의뢰
경북도민 47.1%가 대구·경북 행정통합에 반대하는 반면 대구시 주민들은 47.9%가 찬성의견을 내 대구·경북 통합을 두고 두 지자체간 의견통합이 절실함을 보여주는 여론조사가 공표됐다. <관련기사 2면>
안동시는 지난 22일부터 24일까지 ㈜코리아정보리서치를 통해 대구·경북 거주 18세 이상 성인남녀 2152명(2024년 10월 주민등록 현황에 따라 성·연령·지역별 가중치 적용-경북도민 1143명 응답, 대구시민 1009명 응답)을 무작위로 추출해 대구 경북 행정통합 여론조사를 했다.
조사결과 대구·경북 통합에 경북도민의 37.9%가 찬성하고, 47.1%가 반대했다. 반면, 대구시민의 47.9%가 찬성, 42.2%가 반대했다.
이번 조사에서 경북도민들은 행정통합으로 대도시가 주변 도시를 통해 먹고 산다는 이른바 ‘빨대 효과’가 더 심화할 것이고, 대구의 영향력은 더 강력해질 것이라는 우려를 내비쳤다.
대구의 경우 ‘매우 찬성’이 20.9%로 경북도민의 강한 반대 여론에 비해 미온적으로 조사됐다. 특히 경북 도내 14개 시·군과 대구광역시 내 2개 구·군에서는 반대 의견이 매우 우세했다.
행정통합을 통한 인구증가 효과는 경북도민 44.1%가 부정적이지만, 대구시민 44.3%는 긍정적으로 답변했다.
대구시의 1인당 지역내총생산(GRDP)이 전국 시·도 중 최하위권인 반면, 민간소비는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대도시가 중소도시의 소비력과 경제력을 흡수하는 쏠림현상의 근거로 통용되고 있다. 어느 쪽의 인구가 감소하고 어느 쪽이 늘어날지는 대구·경북 시도민의 답변에 가장 잘 나타나 있다.
정진용 안동시 기획예산실장은 “이번 조사는 양 지역 주민들이 대구와 경북의 통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과연 북부 지역에서만 통합을 반대하는지 확인하는 차원”이라며 “통합의 한 축이 반대하고 다른 쪽은 찬성한다는 건 통합을 위한 공동 합의문이 양 당사자의 입장을 공정하게 반영하지 않았다는 방증”이라고 강조했다.
대구시 관계자도 “행정통합에 대한 긍정적인 설명없이 설문이 이루어져 부정의견이 다소 높게 포집된 것 같다”며 “시민들 사이에서는 대구경북 행정통합에 대한 기대가 높고 조속히 국회통과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많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여론조사는 (주)코리아정보리서치에서 유선전화 ARS 방식(RDD)으로 진행했다. 대구·경북 거주 18세 이상 성인남녀 2152명을 무작위 추출·진행했으며, 경북 도민은 응답수 1143명(응답률 2.4%), 대구시민은 응답수 1009명(응답률 2.2%)으로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경북 ±2.9P, 대구 ±3.1P이다.
/피현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