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구시, TK통합 설명회 각계각층으로 확대

이곤영기자
등록일 2024-11-10 20:22 게재일 2024-11-11 2면
스크랩버튼
오늘 한노총 지역본부 시작으로<br/>연말까지 시민공감대 확산 전력

대구시는 대구경북통합 설명회를 구·군에 이어 기관·단체 등 각계각층으로 확대해 시민공감대를 확산하기로 했다.

시는 지난 1~5일까지 구·군 설명회를 마친데 이어 11일부터 경제계, 노동계, 체육계, 문화계, 국민운동단체 등 기관·단체 설명회로 확대한다.

먼저 11일 한국노총 대구지역본부와 대구시체육회를 시작으로 상공회의소, 의료기관, 문화예술진흥원 등 대구시 지역사회 각계각층으로 대상을 넓혀 12월 말까지 개최할 계획이다.

현재까지 30개 이상의 기관에 대한 설명회가 예정돼 있으며, 향후 대상기관을 지속적으로 추가하기로 했다.

설명회에서는 지역경제의 장기침체와 심각한 인구감소 등 우리 지역은 지방소멸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는 현실을 알려주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대구경북 통합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절박함을 충분히 설명할 예정이다.

또한, 대구경북통합으로 수도인 서울에 준하는 위상을 갖는 대구경북특별시가 출범하게 되며, 대구·경북이 비수도권 거점 경제축으로서 수도권 일극체제를 극복해 지역경제 성장과 국가 균형발전을 함께 견인하는 지방행정체제 대개편의 선도사례가 될 것이라는 점도 강조할 예정이다.

특히, 대구·경북은 통합신공항, 달빛철도, 포항영일만 등에 기반해 교통·물류의 거점이자 거대남부경제권의 중심이며, 한반도 최대면적으로 수도권 절반 가격의 저렴한 산업용지가 많고, 원전·소형모듈원자로(SMR) 등 에너지와 수자원이 풍부해 성장잠재력이 무궁무진하다는 점도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대구경북통합을 통해 이러한 대구·경북의 성장잠재력과 특별법에 포함된 245개의 산업·경제, 투자유치, 도시개발, 재정분야 등 획기적인 특례가 연계된다면, 기업과 일자리가 늘어나며 대구·경북이 획기적으로 성장하고 시·도민의 삶의 질이 비약적으로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대구정책연구원에 따르면 대구경북 통합에 따른 최상의 기대효과를 분석한 결과, 2045년에 GRDP는 1512조원으로 현재보다 8.4배 증가하고, 일자리는 773만 개로 현재보다 2.8배가 늘어나며, 사업체수는 236만 개로 현재보다 3.8배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곤영기자 lgy1964@kbmaeil.com

대구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