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북도와 대구시는 일방적인 행정통합 추진 즉각 중단하라

피현진기자
등록일 2024-11-10 11:52 게재일 2024-11-11 1면
스크랩버튼
경북·대구 행정통합 반대 대책위원회 총궐기대회
경북·대구 행정통합 반대 범시민 대책위원회 총궐기대회에 참석한 권기창 안동시장, 김경도 안동시의회 의장 및 지역 민간단체 회원들이 다양한 문구가 적힌 플래카드를 들고 경북·대구 행정통합 절대 반대를 외치고 있다./안동시 제공
경북·대구 행정통합 반대 범시민 대책위원회 총궐기대회에 참석한 권기창 안동시장, 김경도 안동시의회 의장 및 지역 민간단체 회원들이 다양한 문구가 적힌 플래카드를 들고 경북·대구 행정통합 절대 반대를 외치고 있다./안동시 제공

경북·대구 행정통합 반대 범시민 대책위원회 총궐기대회가 지난 8일 안동시민회관 영남홀에서 개최됐다.

안동지역 24개 민간 단체가 참여하고 있는 대책위는 이번 총궐기대회를 통해 경북도와 대구시의 행정통합에 대한 부당성을 알렸다.

이날 자리에 모인 이들 단체 회원들은 ‘경북도와 대구시는 일방적인 행정통합 추진을 즉각 중단하라’, ‘TK통합보다 (경북도청)신도시 활성화가 우선’, ‘일방적 통합, 주민은 없다’, ‘누구를 위한 통합인가?’, ‘대구 중심 행정통합 경북은 반대’, ‘주민의견 무시하는 시·도지사는 사퇴하라’ 등의 문구가 세겨진 현수막을 펼쳐들고 통합 반대를 촉구했다.

이 자리에서 최윤환(녹색사관학교장) 경북·대구 행정통합 반대 대책위원회 위원장은 “경북도와 대구시의 천년 미래를 걱정하고 후손과 역사 앞에 부끄럽지 않은 안동인이 되기 위해 도·시민의 동의 없는 대구·경북 행정통합을 절대 반대 한다”고 밝혔다.

경북·대구 행정통합 반대 범시민 대책위원회 총궐기대회 참석자들이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안동시제공
경북·대구 행정통합 반대 범시민 대책위원회 총궐기대회 참석자들이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안동시제공

그는 이어 “도민의 무관심과 반대로 무산된 대구·경북 행정통합 추진이 3년 만에 부활했다. 심지어 공식 논의 3개월 만에 두 단체장의 의견 차이로 무산의 위기에 놓이더니, 2개월 만에 깜깜이 공동합의문을 바탕으로 설익은 특별법안과 통합발전전략을 가지고 마치 누가 뺏어가기라도 하는 듯이 속도전을 벌이고 있다”고 비난했다.

그는 또한 “이 과정에 과연 도·시민이 있기는 한가, 두 단체장에게 도·시민의 목소리가 들리긴 하는가, 2년 전 도·시민의 작은 소리도 귀담아듣겠다던 외침은 공허한 메아리인가, 인구감소지역이 대부분인 경북도의 소멸만 가속할 대구·경북 행정통합을 단호히 반대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국정과제인 ‘대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는 행정통합이 추구하는 선택과 집중의 논리로는 실현할 수 없다. 인프라가 풍족한 도시로의 인구와 자본의 집중만 초래할 뿐”이라며 “결국 특정지역만 살기 좋은 대한민국이 될 것이 자명하다. 특히 안동을 포함한 낙후된 북부지방은 경북도청의 기능축소로 성장동력을 상실하고, 10만 자족도시를 꿈꾸던 도청신도시는 채 3만의 인구도 가져보지 못한 채 쇠퇴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최 위원장은 “이번 통합은 경북도민과 대구시민의 갈등으로 시작해 결국 4대 권역으로의 분열로 끝날 것”이라며 “명칭마저 도민의 자존심을 짓밟는 대구·경북행정통합은 주도권을 잡기 위한 갈등으로 번지고 권역별 발전전략은 한정된 자원을 서로 많이 확보하기 위한 분열로 이어질 것이 자명하다”고 강조했다.

대책위원회 회원들과 민간단체 회원들은 “경북도는 ‘경북의 힘으로 새로운 대한민국’이라는 슬로건에 걸맞은 도정 운영으로 지역별 특성을 살린 균형발전 방안을 마련해 지방소멸을 극복한 최초의 자치단체로서 도민의 자존심을 회복해 줄 것을 촉구한다”며 “미래를 걱정하는 참다운 도·시민들은 우리의 간절한 외침과에 응답해 달라, 우리의 목소리에 동참해 줄 것을 간곡히 호소한다”고 통합 반대 동참을 촉구했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

북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