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필요성·주요내용 발표<br/> 오늘 남구·동구·북구 시작<br/> 4일 달서구·달성군·군위군 <br/> 5일 중구·수성구·서구 진행
대구시는 1일부터 사흘에 걸쳐 대구ㆍ경북 행정통합 구·군 설명회를 여는 등 통합에 대한 시민 공감대 확산에 나선다. 설명회는 1일 남구ㆍ동구ㆍ북구를 시작으로 4일 달서구ㆍ달성군ㆍ군위군, 5일 중구ㆍ수성구ㆍ서구 순으로 개최된다.
설명회에서는 대구·경북 통합을 통해 출범하는 ‘대구경북특별시’가 서울과 함께 양대 특별시 체제를 형성해 지역경제 성장과 국가 균형발전을 견인하게 된다는 점을 강조할 예정이다. 또 통합의 필요성, 추진 경과, 특별법의 주요 내용, 기대 효과에 대한 설명과 함께 통합을 위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시민들의 다양한 의견도 수렴할 계획이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수도권 일극체제 심화로 대구·경북의 경제 성장이 정체되면서 일자리와 인구가 감소하는 심각한 지방소멸 위기를 타개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지역의 필수 생존전략으로 대구·경북 통합을 추진해왔다.
대구·경북은 통합신공항, 달빛철도, 포항영일만 등에 기반한 교통·물류의 거점이자 거대 남부경제권의 중심이다. 또한 한반도 최대 면적으로 수도권 절반 수준의 저렴한 산업용지가 많고, 원전·소형모듈원자로(SMR) 등 에너지와 수자원이 풍부해 성장잠재력이 무궁무진하다.
이 같은 성장잠재력에다 특별법에 포함된 산업·경제, 투자유치, 도시개발, 재정분야 등 245개의 획기적인 특례가 더해지면 기업과 일자리가 늘어나면서 대구·경북이 획기적으로 성장하고 시·도민의 삶의 질이 비약적으로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대구정책연구원에 따르면 대구·경북 통합에 따라 2045년 GRDP는 1512조 원으로 현재보다 8.4배, 일자리는 773만개로 현재보다 2.8배가 늘어나며, 사업체수는 236만 개로 현재보다 3.8배 증가하는 등 대구경북특별시가 서울을 능가하는 도시로 성장할 것으로 분석됐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대구·경북 행정통합은 수도권 일극체제에 대응해 지방소멸 위기를 극복하고, 정체된 대한민국 경제성장의 재도약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추진하는 것”이라며 “대구경북특별시가 서울과 함께 양대 특별시가 되어 지역경제 성장과 함께 국가 균형발전을 견인하는 지방행정체제 대혁신의 선도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곤영기자 lgy1964@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