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도형 해수부 장관 등과 동행<br/>‘저탄소 브릿지’ 현장 찾아 격려<br/> 수소환원제철 용지 방문 예정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7일 포스코를 방문한다.
최 부총리는 이날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 박성택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 등과 함께 포스코 포항제철소를 찾아 최근 철강 경기 등을 점검하고 고로 기반 저탄소 Bridge(브릿지) 기술 적용확대 현장을 찾아 격려할 예정이다.
또 포스코가 추진 중인 수소환원제철사업 용지를 둘러보고 정부차원의 지원방안을 논의한다. 앞서 기획재정부는 국가주요 현안은 패스트 트랙으로 진행하겠다면서 수소환원제철사업을 그 안에 포함시켰었다. 따라서 최 부총리의 수소환원제철 용지 방문은 이 사업에 가장 중요한 예상 부지를 직접 살펴보고 확인하기 위한 걸음이다. 포스코는 그동안 민간투자활성화 차원에서 정부가 수소환원제철사업에 적극 나서 줄 것을 요청해 왔다. 실제 이 사업에는 20여조원 이상 투입해야 하는 상황이라 정부정책과 지원이 수반돼야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다.
수소환원제철 공법은 철강 탈 탄소 를 실현하기 위해서 도입하는 것으로, 포스코는 미래 철강기술 리더십을 확보하고 그린철강 시대를 주도하기 위한 차원에서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산자부도 국가 투자에 앞서 수소환원제철 실증을 위해 9000억원을 투입하는 예비타당성 조사를 추진하고 있다.
철강 생산 탄소중립 시책에는 이미 전 세계가 뛰어들었다.
2021년 약 18조원 규모의 그린이노베이션(GI) 펀드를 신설한 일본은 ‘제철소 내 수소 활용 기술 연구 개발 프로젝트’에 4조491억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힌데 이어 2023년에는 수소환원제철 기술 연구개발에도 2조3700억원을 투입하겠다고 발표하는 등 수소제철 공법을 정부가 주도하고 있다.
올해 3월 산업부문 탄소 배출량 감축에 8조400억원의 연방 기금을 지원하겠다고 발표한 미국도 수소를 활용해 저탄소 철강을 생산하는 2개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최대 1조3400억원의 투자를 확정했고 독일은 2026년부터 순차적으로 기존 석탄 기반 고로 6기를 저탄소 철강 생산 설비로 대체한다는 계획 아래 최대 10조2000억원 이상의 정부 지원금을 투자할 예정이다.
한편 포스코는 포항제철소 내 설비부지가 포화상태인 관계로, 영일만 공유 수면을 매립해 135만㎡(41만평)의 수소환원제철 용지를 확보키로 하고 포항시와 경북도, 국토부, 산업부, 해양수산부, 환경부 등 관련 부처와 협의를 지속하고 있다. 일단 해수부의 매립면허 등을 거쳐 올해 내로 행정절차의 마지막 단계인 국토부의 산업단지 계획심의까지 받는다는 계획이다.
/이석윤·이부용 기자